국가기간산업에서 건설산업은 21세기 주력산업으로 도약하느냐, 아니면 사양산업으로 추락하느냐의 중대 기로에 서있다.

지난 2000년대 들어 국내 총생산 대비 건설투자 비중은 15%대로 추락하며 건설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 역시 마이너스 수치로 돌아섰다. 더구나 지난 2005년 국가청렴위원회 조사에서는 국민을 대상으로 한 부패인식도가 73.9%에 달해 최근에는 폭리산업이란 오명까지 뒤집어쓰게 됐다.

그렇다면 건설산업이 국가기간산업으로서 SOC 시설을 건설하고 국가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해온 지난날의 위상을 되찾고 또 다시 장밋빛 미래를 그려볼 순 없을까.

한국건설의 장밋빛 소식 이면에 드리워진 잘못된 제도와 버젓이 진행되고 있는 관행을 보고 있노라면 안타까움을 넘어 참담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현재 건설경기는 수도권과 지방을 불문하고 전체적으로 모두 어려운 가운데 그 정도의 차이가 심해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더불어 정부가 그동안 관급공사로 발주하던 것을 BTL로 발주하며 중소건설업체들의 터전을 빼앗는다는 목소리까지 높아져 중소업체의 수주난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하지만 자신들의 살길을 정부의 제도에서만 찾으려고 의존하는 그들의 모습은 건설업의 앞날까지 암울하게 만들고 있다.

무엇보다 현재 건설업계가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어려움에 봉착돼 있으나 국민의 기대와 관심 위에서 성장한 경험을 되살려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현재의 난관을 극복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지혜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중소업체들도 올해로 60년을 맞은 한국건설에서 생존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건설시장 전체의 변화를 면밀히 읽고 업체 자신의 능력에 맞는 전략과 경쟁력을 제고하는 길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초대형 글로벌 건설업체와 전문화된 중소건설업체간의 바람직한 역할분담에 기초한 체계개편을 통해 상생협력의 틀을 마련하고 최고수준의 인재확보와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노력도 게을리 해선 안 될 일이다.

물론 정부조달시스템도 가격중심에서 가치중심을 지향하고 발주제도를 선진화하며 최고가치 획득을 위한 다양한 입찰계약방식의 도입과 활용의 중요성은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한국의 경제 발전에 건설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겠지만 경제에 기여한 만큼 사회적인 대접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도전이 없으면 기회가 없듯이 한국건설은 지난 60년 못지않게 앞으로의 60년도 잘 해내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혁신경제 건설산업 분야의 명실상부한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직시해 적극 대응해야 함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