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식 정치평론가/21세기한국연구소장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코드는 무엇인가? 총리 지명자가 벌써 2번째 심각한 시민사회의 도전을 받고 있다. 보수적이면서, 충청권 인사가 필요했다면 심대평 전 지사가 어땠을까? 그게 상식에 맞는 인사이다. 그런데 국회 청문회를 앞두고 문창극 후보라는 극적인 카드를 사용하여 시민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문창극 총리 지명자는 6.25 때 청주지방으로 피난을 왔다. 그는 아주 독특한 역사관과 거기에서 살아남는 개인의 철학에 대해서 강의를 한다. 일제의 조선 지배와 6.25 전쟁과 같은 것을 모두 하나님의 뜻으로 이해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국민들을 나태하고, 다른 사람에게 기대고, 자립심이 없다고 폄하하기도 한다. 이 사람의 철학에는 강자만 있다. 약자를 아주 무시한다.

필자는 세월호 참사사건이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사건 이후에도 박근혜 대통령은 시민사회와 코드가 전혀 맞지 않는 단면들을 연출하고 있다. 며칠 전에 나온 선거결과를 보면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새정치민주연합에게 5% 이상 패배했다. 대통령에게 겸손함과 소통의 능력을 배우라는 메시지로 들린다. 지금 우리사회 40대 아줌마들이 모두 박근혜 대통령에게 등을 돌리고 나서야 정신 차릴 것인가?

필자는 여권의 설명에도 귀를 기울인다. 문창극 총리 후보가 자란 곳은 청주이다. 지금까지 박 대통령은 총리 후보들을 경상-충청권의 후보들 가운데 추천하였다. 문창극 후보는 ‘관피아’를 제거하는데도 앞장설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가 관료 출신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방탄개각론’을 이야기한다. 지금은 권력의 누수를 막고, 힘을 비축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속뜻은 문창극 총리 후보를 다름 아닌 김기춘 비서실장이 추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핵심은 역시 ‘그가 무엇을 하며 살아왔는가?’이다. 문창극 총리 후보는 극우의 논객이었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박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고 나서 윤창중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대변인으로 임명했던 사례를 알고 있다. 상대를 무시하고, 강력한 공격만을 앞세우던 인사가 다시 이 비상시국의 총리 후보가 되었다.

이와 같은 비상시국에는 다수의 사람들과 대화가 되고 소통이 되는 그런 사람이 총리 후보가 되어야 마땅하다. ‘개혁을 내세우는 총리’ 후보감을 발표하겠다고 해서 기다리던 시민사회를 더 이상 실망시키지 말았으면 한다. 총리의 직위는 이제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는 아니다. 그러나 총리 자리는 역시 중요하다.

총리는 오늘부터 목표지점까지 가야 할 인물이다. 가는 와중에 가끔은 우로도 가끔은 좌로도 고개를 돌릴 수 있어야 한다. 굳이 관료가 아니더라도 교수, 언론인, 시민사회의 리더들 가운데는 이런 분들이 많다. 그들 가운데 어느 한 사람을 총리 후보로 내세웠으면 한다. 야권은 문창극 총리 후보에 대한 청문화를 전략적으로 기획할 필요가 있다. 그의 도덕성과 함께, 그의 극우주의 철학이 우리 사회에 갖는 의미를 실감 있게 증명해야 한다. 그것도 상대의 언어를 통해서 말이다.

총리 지명은 직접 선거를 통해 당선된 대통령이 한다. 아울러 그 지명에 대해서 국회가 동의해야 한다. 앞으로는 그런 총리 후보들을 일단 시민사회가 잘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시민사회는 마치 ‘권력이라는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에 비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화와 소통을 잘하는 것이 지금 이 시대에 얼마나 필요한 덕목인지 이것을 잘 알려 주어야 한다. 이것이 경제도 살리고, 안전도 살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새로운 인사 코드, 즉 인사 스타일이 되어야 한다. 다만 정치를 ‘갈등에서 통합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보았을 때, 갈등의 과정에서 취할 자세와 통합의 단계에서 필요한 자세를 잘 분별하는 지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요즘 갈등은 무시하면서 통합만을 구호로 내세세우는 젊은 정치인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김광식 정치평론가/21세기한국연구소장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