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투데이 김지용 기자]

한국의 근대신문 중에 1898년 8월10일 일간으로 출범한 ‘제국신문’은 1903년 7월7일자부터 종래 타블로이드판 신문을 확대하여 대판(타블로이드 배판)으로 발행하기 시작했다.(1910년 폐간) 1920년에 나온 조선일보. 동아일보도 초기에는 신문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형화 되지 않고 들쭉날쭉하게 되었다.
직사각형 비례의 기원은 1912년 파리의 입체파 화가들이 인간에게 가장 아름다움을 주는 것은 1: 󰀂(1.414)인 사각형이라고 주장하면서 동등된 비례로 이 사각형은 정사각형과 그 대각선의 비율로 계속 2등분을 할 경우 그 모양이 같은 비례로 계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영국왕실에서 종이의 기본적 모양을 이 기준으로 정했고 1962년 국내에도 이를 채택하여 신문판형의 기본이 된 것이다. 흔히 B전지라고 부르는 4X6전지의 크기는 788mmX 1091mm로 정해졌다. 결국 1962년에 들어 대판신문은 B전지 4절지(374mm X 545mm)의 크기가 국제규격으로 정해졌으나 한국표준규격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국내서 사용하는 대판신문의 정확한 크기는 399mmX545mm가 기본이다. 일반적으로 타블로이드판 신문은 화보집. 전문지. 지역신문. 주간신문. 기관지. 사보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이 타블로이드 판형은 원래 19세기에 나타난 보스턴의 소형 페니페이퍼들이 대중적인 내용을 실어 인기를 끌었으며 대표적인 신문으로 데일리뉴스. 데일리밀러등이 있다.

대판신문이 그 크기가 지나치게 커서 특히 지하철 출퇴근 시간에 신문을 펼치고 읽기가 불편하다는 이유로 디벨트. 인디펜던트 등이 대판에서 타블로이드 판형으로 전환하였으며 신문이 작고 가벼워 쉽고 간편하게 읽을 수 있다는 이유로 황색지들이 주로 즐겨 사용한다.
60년대 들어 틀을 잡기 시작한 대판신문은 퀄리티페이퍼의 상징으로 취급될 뿐만 아니라 권위적 의미가 다분하여 애용되었으며 기사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인정을 받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미(歐美)신문의 축소하는 추세에 밀려 대판신문의 불편함을 감내하고 권위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USA투데이. 르몽드 등 대판과 타블로이드판의 중간 크기로 취급되는 베를리너판 형태의 신문이 출현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중앙일보가 윤전기를 도입, 이 판형을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 판형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않고 편집측면에서도 부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아무튼 이런 연유로 대판신문의 포맷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판신문에서 가로 38cm와 세로 52.5cm의 규격안에서 순수 기사만을 처리하는 부분을 판면(type area)이라고 부르며 그 이외 손에 잡히는 부분을 마진(magin)이라고 칭한다. 인쇄기도 종이 크기와 동일하게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대판신문의 종이 크기를 줄일 수 없는 관계로 판면을 조정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1단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5cm이다. 단간의 길이를 0.5cm로 환산하면 7단의 경우 38cm가 되어 합리적인 분류이다. 독서를 할 때 가장 최적의 가시범위는 5.3cm라는 학설이 정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수긍이 간다.
가로신문을 7단으로 결정할 때 이 학설에 준해서 기본적인 포맷으로 삼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판신문의 크기는 가로의 길이가 38cm로 정확하게 맞춰진 신문이 거의 없다. 프론트페이지의 경우 대부분 35cm내외로 축소시켜 1단의 폭이 4.5cm선으로 조정되고 마진의 폭이 넓어져 밸런스가 홀쭉하게 되고 지면을 낭비하는 현상을 빚고 있다.

전체 칼럼 수는 7단으로 정할 때 편집상 가장 취약점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은 지면의 왼쪽 상단에 톱기사를 배치하여 제목 처리하고 바로 그 다음 단으로 이어지는 기사의 제목을 배치할 때 확연하게 구분이 되지않아 연속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지면 구성상에도 어울리지않는 포맷이 된다.
이런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진이나 도표 등을 배치하고 때에 따라서는 칼럼 수를 조정하여 처리하는 묘미를 발휘하기도 한다. USA투데이는 왼쪽 부분 1.5단 정도의 폭에 특정뉴스를 처리하여 편집의 기교도 살리고 연속 이어지는 취약점을 손쉽게 해결하는 지혜를 보이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국내 대판신문은 대부분 기존 대판신문의 판형을 지키지않고 가로폭을 35cm내외로 좁혀 처리함으로써 홀쭉한 길쭉형 포맷을 선호하는 경향에 있다. 이에따라 전면광고를 게재하는 지면에서는 길쭉형 포맷을 적용할 수가 없어 결국 지면이 들쭉날쭉하는 현상을 빚고 있다. 더욱이 상하 길이도 마찬가지로 기존 52.5cm 보다 짧게 처리한다던지 또는 55cm에 가깝게 길게 처리하는 예도 있어 영세신문의 경우는 종합신문의 윤전기에 의뢰하여 인쇄를 하는 관계로 판형의 크기가 미리 약속하지 않으면 크기가 맞지않아 조판을 다시 해야 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한다.
각 신문사가 그 크기를 일정하게 정하지않는 한 상하의 길이도 들쭉날쭉하는 현상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김 지 용(편집이사/논설실장)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