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활성화 적극 나서 긍정적, 중국比 자본 수요도 많아

대표적 신흥시장인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주춤해지면서 내수 중심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인도가 대안 투자처가 될 수 있다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인도는 인구와 내수 수요, 인프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고루 갖춰 성장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8일 방한한 모디 총리가 투자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자본시장연구원 표영선 연구원은 "인도 정부는 투자 활성화를 위해 법인세율을 기존 30%에서 25%로 낮춰 4년간 유지하고, 인프라 개선을 위해 전년보다 12조5000억원 상당의 예산을 늘렸다"며 "성장 중심으로 예산을 집행하기 위해 재정적자 3% 진입 목표를 늦출 만큼 개혁 의지가 확고하다"고 말했다.

이들은 특히 원자재 시장을 중심으로 인도의 활약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베스트투자증권 황병진 연구원은 "인도의 원유와 석탄 등 에너지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연도별 편차는 있지만 흐름을 볼 때 앞으로 중국에 이은 원자재 슈퍼 사이클은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이 이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 인도는 금융 부문과 실물 부문의 괴리를 해결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 5월 모디총리가 취임한 뒤 경제 개혁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올랐지만, 실물 경제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어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 일각에서는 지난해 모디 총리의 친기업 정책과 경제성장 정책으로 수십조 달러의 외국인 투자 자금이 인도로 몰렸지만, 최근 불투명한 정책으로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고 우려한다. 이들은 인도 증시에서는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8억7000만 달러 규모의 순유출을 보였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만 자본이 풍부한 중국과 비교해 인도는 기술과 자본 모두 필요한 시장이기에 한국 기업들에 기회가 될 것으로 이들은 분석했다.

신한금융투자 양기인 리서치센터장은 "중국은 기업투자 지분에 대한 제한으로 외국 기업에 지분을 주지 않아 한계가 있는 셈"이라며 "선점했을 때 파이는 자본 수요도 있는 인도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철강과 화학, 조선, 기계 등의 중후장대 산업이 인도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 점도 의미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양 센터장은 "인도는 중국보다 인프라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제철과 조선 등 산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모디 총리까지 나선 상황"이라며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선 만큼 진행도 상대적으로 중국보다 빠르게 진행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들은 앞으로 인도 시장에서 ▲식음료 ▲사회간접자본(SOC) ▲생활소비재 ▲가전 등이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