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의 지방자치단체마다 명소에 케이블카를 건립하겠다는 신청이 줄을 잇고 있다고 한다. 주로 지리산, 속리산을 끼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30여 곳이 케이블카 설치권을 서로 따내겠다고 경쟁을 벌인다는 것이다. 환경부가 지난 달 28일 국립공원위원회를 열어 설악산 오색탐방로 입구에서 끝청봉(해발 1480m)까지 3.5㎞ 구간에 케이블카 설치를 승인한 이후 더욱 열띤 경쟁을 벌이고 있다.

케이블카 설치를 놓고 찬반이 팽팽하다. 관광자원 개발을 위해 케이블카 설치를 주장하는가 하면, 환경관련 시민단체들은 생태계 훼손을 이유로 설치를 반대하고 있다. 케이블카 설치는 걸어서 정상에 오를 엄두를 내지 못해 명산의 절경을 포기하는 탐방객들에게는 희소식이다. 노약자와 장애인들도 손쉽게 천혜의 경관을 누릴 수 있고, 일정에 쫓겨 등산을 할 수 없었던 외국인 관광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등 이점이 작지 않다.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얻을 수 있기에 지역민들의 기대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케이블카 사업이 지자체별로 유행사업이 된 이유는 2008년 4월 운행을 시작한 경남 통영 케이블카(사업비 173억원·연간 흑자 15억~36억원)의 성공이다. 하지만 지자체가 케이블카 설치를 위해 넘어야 할 산은 높고 많다.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 등 까다로운 행정절차와 시민·환경·종교 단체의 반대를 넘지 못하면 추진이 어렵다. 케이블카 탓에 산 자체의 경관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고 만성 적자 땐 관광 활성화보다 시민 혈세를 투입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를 사고 있다.

케이블카 설치 반대 논리는 나름 설득력이 있다. 환경 파괴도 문제이지만, 자칫 지자체 재정 악화의 주범으로 몰릴 수 있는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지자체 스스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환경을 살리면서 탐방객들의 편의 증진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를 깊이 상고해서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