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보고서 발간

▲ 미국 공공인프라 건설 수요 및 투자(단위:십억 달러). 자료=코트라

[일간투데이 이은실 기자] 우리 기업이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선 대규모 컨소시엄 구성, 철저한 현지화, 틈새시장 진입 등 3대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는 '트럼프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보고서에서 트럼프 당선자가 공약한 1조달러 공공인프라 시장 진출방안을 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미엔지니어링협회에 따르면 미국 공공인프라 시설은 D+ 등급으로 트럼프는 임기 초반 가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인프라 정책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으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국내 건설사 해외건설 수주 금액 중 북미시장은 4.5%에 불과하고, 기술(설계) 경쟁력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방예산이 투입되는 인프라 사업에 미국산 사용 비율을 현 60%보다 높이려는 입법이 추진되는 등 바이아메리카(Buy America) 규정 강화는 해외기업 참여에 장애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바이아메리카란 인프라 사업에 미국제품을 우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볼 때 우리기업은 선단형 컨소시엄 구성·현지화·틈새시장 공략의 3대 전략으로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에 접근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국책은행과 건설사, IT 기업, 제조기업, 서비스기업이 동시에 참여하는 '선단형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방위적 가치사슬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원이 부족한 미국내 상황을 고려해 국책은행은 미국 인프라 시설에 적극 투자하고, 우리기업의 기자재 공급, 설비건설 참여 등을 요청해야 한다. 건설사의 경우엔 현지 중소 건설사와 제휴를 맺거나 전략적 M&A를 통해 주(州)·지방정부 프로젝트부터 실적을 쌓아 미국 시장에서 신뢰도를 높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규모 인프라 건설이 예상됨에 따라 미국내 철강과 기계·기자재 수요는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기회를 잡기 위해선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현지기업과 생산 공정 협력을 강화하는 등 현지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차장 현대화와 고속도로 휴게소, 스포츠·유락 시설, 정부청사 건설 등 경험 축적으로 한국 기업에 특화된 틈새시장을 공략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법 상 바이아메리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설계·시공·유지보수 등 건설서비스 부문에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조영수 코트라 시장동향분석실장은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참여는 국내기업에게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선단형 진출로 규모와 기술, 자금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등 장기적 안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