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口蹄疫)의 확산 속도가 무섭다. 13일 충북 보은군 마로면 상장리의 한우농가에서 여섯 번째 구제역 사례가 확인됐고, 인근 지역에서 의심 농가 두 곳도 새로 발견됐다. 이에 따라 정부가 시ㆍ도 우제류 타지역 반출 금지 기간을 19일까지 연장하는 한편 긴급 백신 확보에 나섰다.

문제는 백신수급이다. 정부는 지금까지 O형 구제역을 제외한 다른 유형의 발생 상황에 거의 대비하지 않았다. 당초 경기 연천서 발생한 A형 구제역에 관한 백신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한때 ‘A형 백신 무방비 상태’라는 불안이 번졌으나 다행히 O+A형 백신으로도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발표됐다. 하지만 O+A형 백신 재고량이 99만두 분에 불과한 데다 추가 계약 물량 160만두 분은 2월 말이나 3월 초에 도착할 예정이어서 공백기간의 백신 부족 사태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성을 파악해 대처해야겠다. 당장 정부의 예방과 대응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잖다. 예컨대 구제역의 경우 백신을 전량 수입하는데, 이 백신은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과는 유전적으로 20% 이상 차이 나는 걸 계속 수입해 사용해왔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백신을 사용하더라도 바이러스 감염이 될 수 있고, 또 바이러스 변종이 생기면 임상 증상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백신 효용이 떨어진 탓에 구제역이 추가 발생하고, 다량 살처분이 이뤄지면 국민과 농민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인 것이다.

당장 화급한 건 무슨 일이 있어도 구제역의 전국 확산만은 막는 일이다. 전염성이 강한 돼지 농가로 번지면 큰일이다. 황 대행은 ‘방역도 국방’이라는 각오로 최선두에 서서 구제역 진압을 진두지휘해야 한다. 농식품부 장관도 직을 걸고 물샐 틈 없는 방역을 챙겨야 한다. 24시간 상황실과 현장을 오가며 언제 터질지 모를 방역의 허점을 시시각각 메워야 한다. 방역 시스템의 전면 개편이나 책임론은 그 다음 일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