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부국장대우

요즘 일본인들이 독도 망언을 비롯 소녀상 사건으로 주한대사를 불러들이며 초강수를 두고 있다. 한편으로는 아베를 축으로 전쟁가능국가를 만들더니 극도의 반한정당까지 등장, 일종의 광기마저 보이는 듯하다. 이런 증세는 일본인들의 한민족에 대한 뿌리 깊은 숙명적 열등감과 호전성에 기인하는 것 같다.

오늘날 일본인들의 유별난 질서의식과 예의는 검(劍)이 난무하는 시대에서 속내를 감추고 복종적이어야만 살아남을 수 있었던 막부시대의 생존방식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중세 때 오랜 시간 항해 끝에 태평양을 거쳐 일본에 상륙한 유럽의 상인들이 표현했던 말이 있다. 자그마한 종족들이 검을 잘 쓰며 쉽게 타인을 목을 베고 자존심을 이유로 명예가 더럽혀지면 할복을 서슴지 않는 잔인한 종족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서양은 항복자와 전사자의 비율이 4:1이지만 일본군은 1:120일 정도로 항복을 죽음보다 더한 수치로 여겼다고 한다. 일본은 정신이 육체를 앞선다는 프랑스 엘랑비탈 학파의 황당한 전쟁이론과 함께 옥쇄(玉碎, 교쿠사이)를 미화하는 민족이다. 그들의 국화(國花)가 벚꽃이 된 것도 한 번에 폈다 한 번에 지는 옥쇄(옥같이 아름답게 부서지며 죽는다는 뜻)같은 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열악한 현실을 기적적으로 타계하는 능력과 샤일록(셰익스피어의 희곡 '베니스의 상인'에 나오는 욕심 많은 고리대금업자)을 등칠 수 있는 상술(商術)을 지닌 일본인들이다.

오늘날 일본의 근간을 이룩한 전국시대 세 명의 영주들이 ‘울지 않는 새’를 두고 표현한 일화가 있다.

일본 전체를 벌벌 떨게 했던 맹장(猛將)이며 기인으로 알려진 오다 노부나가는“울지 않는 새는 죽여 버린다”라고 해 그의 스타일을 짐작케 했다. 희대의 장사치며 정치꾼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어떻게 든 울게 한다”고 했다. 또 일본을 통일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인내의 화신이었다. 그의 지론은 “새가 울 때까지 기다린다”였다. 어린 시절부터 볼모생활과 인고의 세월을 거친 그가 끝내는 세키가하라 벌판에서 이시다 미스나리가 이끄는 히데요리 측과의 동서 대회전을 승리로 이끌며 에도 막부시대를 열었다. 오늘날 일본인들 국민성의 근간을 이루게 한 인내심의 단면을 돋보이는 일화이기도 하다.

대동아 공영이란 기치아래 세계대전을 일으킨 일본은 패망 후 국가재건을 위해 게이샤를 외화수입의 첨병으로 활용할 정도로 집요한 민족이었다. 그런 기저로 교코라는 기생을 주인공으로 한 세계적인 명작이 탄생하기도 했다.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이다.

일본은 국가 존립을 위해서라면 개인을 희생하며 극도로 단합하는 그런 서늘한 민족이다. 하물며 이웃인 작금의 대한민국은 나라의 수장을 놓고 탄핵 찬반으로 나뉜 채 국가 분열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세계가 자국보호 중심으로 돌아가고 사드에 뿔난 중국이 ‘경제 갑질’을 일삼고 있다. 한술 더 떠 아베정권은 점점 극우의 길을 택하고 있다. 구한말 위기의 세계정세가 재연되는 것 같아 진정 두렵기까지 하다.

김동초 일간투데이 정경부국장대우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