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특집팀 홍보영 기자

[일간투데이 홍보영 기자] 한반도 사드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보복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한류를 규제하는 한한령이 선포된데 이어 중국 내 롯데마트 영업점 90%이상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한국 관광 금지조치가 시행돼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중국 바이어나 관광객의 단체 참가 취소도 줄을 잇고 있다. 일례로 매년 700명가량의 중국 바이어가 참가하는 대구국제안경전(DIOPS)은 올해 단체 참가 취소로 곤란을 겪고 있다.

보복은 민간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단교에 준하는 제재'를 주장하며 "한국 기업들을 벌해서 교훈을 주자"는 불매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사드보복이 심해지자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중국에 진출한 기업 597개사를 대상으로 '중국 사드 관련 경제조치에 따른 피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업체 89.1%가 사드 보복조치로 인한 피해를 체감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심의, 인허가 지연, 예정된 행사 및 계약 취소 등 피해유형은 다양했다.

피해가 속출하자 국내에서는 그동안 중국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심했던 것 아니냐는 자성과 함께 수출 판로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화장품의 중국 수출액은 28억2200만 달러로 67%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10억600만 달러로 53%를 기록한 2014년에 비해 크게 오른 수치다. 같은 기간 미국 수출액 비중은 8.2%에서 8.3%로 제자리걸음이었다.

그런데 최근 중국으로의 수출이 어려워지자, 화장품 업계에서는 미국이나 유럽, 동남아 등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토니모리의 경우 최근 미국 지사에 아마존닷컴 전담팀을 만들었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도 그동안 브랜드 가치가 낮아질 것을 우려해 온라인시장에 진출하길 꺼려왔지만, 앞으로 해외 온라인 유통을 확대할 방침이다.

중국의 경제적 보복조치는 우리나라가 처음이 아니다. 연어 수입제한 보복을 당했던 노르웨이는 유럽연합 등 신시장을 개척했으며, 일본과 대만도 중국의 경제 보복이 있은 뒤 동남아, 인도 등으로 수출 다변화를 펼쳤다.

위기는 기회일 수 있다.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조금씩 줄여나가고 유망 국가들과의 서플라이체인을 강화하자.

아울러,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외교가 필요하다. 각국의 입장이 다를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외교안보 상황과 그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