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특집팀 홍보영 기자

[일간투데이 홍보영 기자] 청년 취업난이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는 가운데, 설상가상으로 열악한 고용환경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한국노동연구원에서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정규직 근로자 중에서 스스로를 비정규직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10.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객관적으로 정규직임에도 불구하고 실상 노동조건은 비정규직에 가깝기 때문이다.

본인이 비정규직이라고 생각하는 정규직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7.2시간, 월평균 임금은 175만4000원이었다. 스스로 정규직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6.5시간, 월평균 임금은 290만6000원으로, 비정규직이라고 생각하는 정규직과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의 가장 기본적인 고용 조건으로 여겨지는 4대 보험 가입, 퇴직금 등의 혜택에서 소외되는 경우도 있다.

비정규직으로 인식하는 정규직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46%, 건강보험 가입률은 50%, 실업 보험은 47%, 산재보험은 49%에 그쳤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도 극복해야 할 주된 사안이다. 청년 실업률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오히려 중소기업은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4년제 대학생 346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에 의하면 대학생의 선호기업 1순위는 대기업(32.3%)으로 꼽혔다. 중견기업, 공기업이 각각 19%, 15.7%로 대기업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이 취업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외면 받는 이유는 부실한 복지체계, 적은 임금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에 취직했다가 퇴사하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A씨(27세)는 "대기업에 비해 월급이 적은데 업무 분량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고 호소했다.

이에 청년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일자리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을 파악하는 한편, 노동조건이 열악한 정규직에 대한 처우 개선도 필요하다. 무작정 일자리를 늘리기 보다는 현재 고용시장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일자리 정책에 반영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