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세계를 무대로 한 시장 개척은 한국경제를 살리는 지름길 중 하나다. 특히 지속성장을 위해선 미국과 중국이라는 주요2개국(G2) 시장에 집중된 수출의존도를 줄이고 아세안, 인도,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13억 인구의 중국에 이어 ‘넥스트 차이나‘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 인프라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참으로 뜻 깊은 일이다. 서울에서 최근 개최된 한-인도 재무장관회의에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아룬 제이틀리 인도 재무부 장관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기본협정을 체결한 것이다. 소득이 작지 않다. 무엇보다 우리 기업이 인도 인프라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확대됐다.

인도가 그 동안 주요 8개국(G8)과 유럽연합(EU)으로 제한한 ODA(공적개발원조) 협력국에 우리나라도 포함돼서다. 양국은 EDCF 10억달러, 수출금융 90억달러로 구성된 금융패키지를 지원할 후보 사업으로 4건을 추렸다. 이 중 한국은 뉴델리 복합역사 개발 사업, 마하라쉬트라주 스마트시티 개발 사업을 제안했다. 금융패키지 지원이 실제 이뤄질 경우 우리 기업은 최종 수주, 사업 수행에 있어 큰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는 우리 기업들에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시장이다.

인도는 인구가 12억명으로 거대한 내수시장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우주항공, 정보통신(IT) 등 첨단산업에서 단연 두각을 나타내는 기술 강국이다. 이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인도 경제성장률이 7.5%로 중국(6.8%)을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을 정도다. 또한 인도는 비동맹 외교의 맹주로 국제무대에서 외교 지평을 넓혀나가야 하는 우리로서는 활용도가 적지 않다.

당국과 우리 기업들은 긴 호흡으로 양국 간 신뢰를 축적, 인도의 지역·산업별 ‘맞춤형 투자전략’을 세우는 치밀함으로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를 여는 발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 시점 눈앞에 펼쳐진 거대시장 인도에 진출할 채비를 제대로 갖췄는지를 돌아봐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