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대마진 통해 고실적…당국 진상규명 나서

"대출금리는 상승
예금금리는 정체…

손쉽게 영업 안주"

금감원 "자본확충하고
대출관행 개선하라"


[일간투데이 홍보영 기자] 올해 상반기 '기록적 수익'을 올린 은행들에 대해 금융당국이 원인 파악에 나섰다. 1천400조원의 빚더미에 짓눌린 가계의 모습과 사뭇 대조적인 모습이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각 은행의 이자·비이자 이익, 순이자마진(NIM), 예대금리, 대손충당금 책정 등을 분석 중이라고 지난 26일 밝혔다.

KB·신한·하나 등 3대 금융지주사와 우리은행의 올해 상반기 순이익은 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은행들이 높은 실적을 낸 배경에는 대출금리 상승을 예금금리가 따라가지 못하면서 NIM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마다 사정이 조금씩 다르지만, 수익성의 핵심 지표인 NIM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대출금리 상승은 지난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이 시차를 두고 반영된 결과로 파악된다.

여기에 당국의 집단대출 관리 강화에 따른 아파트 집단대출 금리 상승이 한몫한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시중 은행들은 대출금리 인상에 상응하는 만큼 예금금리를 올리지 않았다. 이는 예금금리의 유동성이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예대율과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모두 경영지도비율인 100%와 90% 범위에 머물러 있어 은행들의 자금 사정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주 회장의 연임, 민영화, 계열사 인수, 충당금 등 일회성 요인도 은행의 수익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금감원은 판단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하나금융지주의 경우 김정태 회장의 3연임 도전이, 우리은행은 지분 매각이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밖에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에 따라 신탁·펀드 자산이 늘면서 여기서 발생한 수수료 수익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은행들의 수익 상승은 담보·우량대출 위주의 영업적 행태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도 지난 26일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금융이 '손쉬운 영업'에 안주해 왔다고 비판했다. 새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에 따라 소비적 금융에서 탈피해 생산적 금융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감원도 담보·우량대출 위주의 관행에서 벗어나 여·수신 채널이 아닌 IB(투자은행) 사업 채널로 벤처·창업펀드에 자금을 공급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9년까지 '바젤Ⅲ'에 맞춰 자본비율과 유동성 비율을 높여야 하는데, 국내 은행들은 여건상 무상증자가 어려울 것"이라며 "업황이 좋을 때 배당성향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자본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충고했다. 바젤Ⅲ는 국제결제은행(BIS)이 합의한 것으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금융기관이 단계적으로 충족해야 할 자기자본비율의 기준에 관한 국제금융협정을 의미한다.

소액·장기 연체채권 정리에 대해서도 "은행으로서도 별로 이익도 안 되고, 회수율도 낮으니 이 기회에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