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특집팀 황한솔 기자
[일간투데이 황한솔 기자] 부모들은 아이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연이은 학교폭력 소식에 학부모들은 "내 아이는 아니겠지"라고 생각하며 불안해한다.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는 학교폭력에 국민들은 10대들이 무서워졌다. 경찰에서도 그 심각성을 알고 2012년 학교전담경찰관이라는 제도를 도입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학교폭력은 날이 갈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다.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살인 등 4대 강력범죄로 검거된 10대는 모두 1만5849명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단순 계산으로 봤을 때에 10대들의 강력범죄가 하루에 9건씩 발생한다는 것이다.

어쩌다 학생들이 이렇게 폭력적으로 변하고 있었음에도 우리들은 모르고 있었을까. 한 연구에 따르면 가해 학생 혹은 피해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가정, 학교 등 복합적인 사회 환경적 요소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고 한다.

혹자는 "교실은 작은 사회"라고 말하기도 한다. 학생들 사이에서 정치와 서열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학생이 "쟤 마음에 안들어"라고 말한다면 다른 친구들도 동요하게 되면서 다수로 번지게 돼 B학생을 왕따로 만들어 버린다. 즉, 나비효과처럼 한명으로부터 다수에게 퍼지는 것이다.

이렇게 학교폭력이 발생해도 피해 학생들은 부모나 선생들에게 도움을 청하지 못한다. 실제로 청소년폭력예방재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명 중 3명의 학생이 폭력을 당하고도 도움을 청하지 않다고 조사됐다.

도움을 청하지 않는 이유로는 '일이 커질 것 같아서'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등의 대답이 주를 이뤘다. 즉, 피해학생은 어른들에게 기대하지 못하고 혼자 끙끙 앓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학교폭력을 당해 도움을 청한 학생들은 트라우마를 후유증을 겪게 되지만 이들을 지원할 전담기관도 부족한 실정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송기석 국민의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전담기관 수는 28곳이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전국적으로 31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올해 28곳으로 줄었다.

교육부는 학교폭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지난 9월 17일부터 오는 10월 27일까지 '2017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실태조사가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서울 동작구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권모(11)군은 "실태조사해도 달라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생들의 학교폭력은 갈수록 늘어나고 잔혹해지고 있는데 교육부는 해결도 하지 못하는 실태조사만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