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시대 대비 첨단도로인프라 정책방안' 보고서
도입초기·활성화·안정화 3단계 구분…선제적 대응방안 제시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자율주행차량 도입단계에 따라 도입초기·활성화·안정화 3단계로 구분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됐다.

6일 국토연구원은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첨단도로인프라 정책방안' 보고서를 통해 "오는 2020년부터 자율차 상황화가 예측됨에 따라, 예기치 못한 돌발상황으로 교통사고 증가 등 당초 기대했던 도로의 효율성 향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자율차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자율차의 기존 도로인프라에 대한 인식 한계로 대응력이 부족해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운전자 또는 보행자·자전거 이용자 등 도로이용자의 행동을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어 안정성의 문제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 밖에 도로위에서 일반차량과 혼재한 상황에서 좁은 간격으로 최선두 차량을 뒤따를 수 없기 때문에 도로 효율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과 일반차량 혼재시 발생할 수 있는 변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면 자율차의 도입비율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최적 첨단도로인프라 정책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우선 도입초기 단계에선 기존 도로인프라의 첨단화를 통해 자율차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행을 지원한다.

예컨대 도로시설물에는 자율차의 인지성능 향상을 위한 차선 표시 및 자율차 카메라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도로표지 구축 등이 제시된다. 이를 통해 자율차의 정보인지 한계성을 극복해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활성화 단계에선 자율차가 일정 비율 이상 도달한 시기로 일반차량과 분리 운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자율차의 군집주행은 약 2.5배 효율적인 결과가 나오며 이는 정체감소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로 대기 질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안정화 단계에선 초고속주행에 대한 수요가 예상됨에 따라 자율차의 안정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정리했다.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구축하면 향상된 교통서비스로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조할 수 있고 물류비 감소는 물론 자율차 구매 의사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