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AI) 대응책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촘촘히 마련돼야겠다. 기온이 떨어지는 환절기가 되면서 AI가 기승을 부릴 조짐인 것이다. 전북 고창군에 이어 전남 순천시 순천만의 야생 조류에서 발견된 AI 바이러스도 고병원성으로 확진됐다. 전남도는 순천만을 전격 폐쇄하고 관광객 입장을 금지했다. 또 평창 올림픽 개최지와 가까운 강원 양양군 남대천의 야생 조류 분변에서도 AI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방역당국이 전국 확산 방지에 나선 가운데 AI 사태가 왜 매년 반복되는지, 근본적인 대처방안은 없는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초동 대처를 강조하지만 고병원성 AI는 이미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앞서 고창군에서 확진 판정된 고병원성 AI가 축산 대기업과 계약한 농가에서 발견되면서 방역을 강화하겠다던 정부 대책이 공염불에 머물 수도 있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AI를 최전방에서 막아야 할 수의직 공무원인 가축방역관도 제대로 충원하지 못하는 등 정부 대책 곳곳에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AI는 철새이동에 의한 감염이 원인으로 밝혀졌지만 일단 유행하면 대규모의 가금류가 살처분돼야 하는 등 축사농과 음식점 등 민생 피해가 적지 않다. 농가 전담 공무원을 활용해 예찰 활동을 벌이는 것은 물론 광역 방제기와 소독차량을 동원해 소독 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현 방역체계로는 인력과 장비 면에서 한계가 적지 않다. 고병원성 AI는 전파 속도가 워낙 빨라 자치단체 차원에서 소독 등 방역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 정부차원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글로벌 시대, 특히 국제 공제에 힘써야 한다. 중국 등지를 경유하는 철새는 정보가 부족해 대응에 어려움을 겪어온 때문이다. 한·중·일 정보 공유가 이뤄지면, 발병 예상지에 대한 사전방역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간 한·중·일은 AI나 구제역 전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축산 관계자의 입·출국 정보를 공유키로 했지만 ‘밀도’를 더 높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시 예방 체계와 가금산업 구조혁신, 위험관리 과학기술 도입, 자율·책임 방역 강화 등 정부가 지난 9월 내놓은 AI의 실행이 적극 시행돼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