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일 남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국민적 역량을 전력 투입해야겠다. ‘평화, 평창!’이라는 슬로건이 보여주듯 ‘평화올림픽’의 당위성에 국제사회가 공감, 전폭적으로 참가하도록 막바지 노력을 기울일 때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와 동북아, 세계평화 구현 염원이 절실하다.

유엔총회가 지난달 평창동계올림픽 휴전 결의를 채택한 배경도 이런 이유에서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스포츠와 올림픽 이상을 통해 평화롭고 더 나은 세상 건설’에 힘쓰자는 결의문이다. 올림픽 개막 7일 전부터 폐막 이후 7일까지 적대행위를 일절 하지 말자는 국제사회의 약속이자 선언이다. 이번 선언은 평창올림픽이 2020년 도쿄하계올림픽,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으로 이어지는 동북아 올림픽 릴레이의 첫 주자이기에 상징성이 더욱 크다.

평창동계올림픽의 중요성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악재’가 적잖아 흥행이 우려되고 있다. 당장 한반도 주변 4대 열강인 미국과 러시아가 ‘이상 징후’를 보이고 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가 최근 미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 선수단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여부에 대해 “미정 상태(open question)”라고 말해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올림픽위원회(USOC)는 성명을 통해 “두 대회에 선수단을 보낼 것”이라고 밝혔고,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아직 공식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는 게 헤일리 대사가 한 정확한 말”이라며 수습에 나섰다. 현재로선 미국이 선수단을 파견하지 않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하지만 한·미관계가 심상치 않음을 보여준다. 예컨대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주석 초청으로 13일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주한미군 기지 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인한 한·중 갈등을 풀고 전략적동반자관계의 강화 등을 사전 견제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살 만한 모습이다. 문 대통령의 중국 특사였던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한 학술회의에서 “한국과 중국은 북핵 문제에 관해 입장이 똑같다”며 “‘쌍중단(雙中斷)’에서 입장이 같고 ‘쌍궤병행(雙軌竝行)’도 같은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미국 입장에서 볼 때 가볍게 여길 수 없는 성격일 것이다. 중국의 북핵 해법인 쌍중단과 쌍궤병행은 각각 북의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동시 중단,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의 병행을 의미한다. 중국을 대변하는 듯한 발언이 여권 핵심에서 계속 흘러나오니 미국에서 한·미관계의 파열음이 불거지는 게 아닌가.평화올림픽을 저해할 수 있는 일은 러시아 선수단 문제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도핑 조작을 이유로 러시아 선수단에 평창 올림픽 출전 금지 결정을 내려 개인 자격 출전만 허용됐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자국 선수들의 개인 자격 올림픽 출전을 막지 않겠다고 했지만 흥행엔 먹구름이 끼얹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방북을 성사키고, 북한이 참가하는 등 평화올림픽 정신 구현을 위해 우리가 각별히 노력해야겠다. 북한도 참가하도록 결단하길 기대한다. IOC는 북한이 참가 의사만 있다면 각 종목 국제연맹과 협의해 와일드카드를 주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더불어 참가에 따르는 비용도 모두 부담하겠다는 입장까지 알리며 북한 참가를 유도하고 있다. 북한이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한 최소한의 자세일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