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한령 이후 소비재 수출입 비중 및 증가세 둔화
영유권 분쟁 이후 경제적 보복 당한 일본 사례 분석
무역협회, 외교 갈등 재발생·한류 소멸 등에 대비해야

[일간투데이 임현지 기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보복을 교훈삼아 중국 소비재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지난 10일 발표한 '사드 갈등이 남긴 교훈, 대중국 수출 전략 어떻게 변해야 하나?' 보고서를 통해, 사드 이후 중국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소비재 기업들이 중국 시장 회복 흐름을 잘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의 빠른 도시화와 중산층 증가로 소비재 시장이 규모 확대 등 호황기에 접어든 시점에 우리나라 제품만 소외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사드 갈등에도 불구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대중국 수출은 반도체 수출 증가를 바탕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0% 증가했지만, 이 중 소비재는 3.1%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188.2%의 고성장을 거듭하던 화장품은 사드가 본격화 된 이후 16.4% 상승에 그치는 등 증가폭이 크게 둔화됐다.

보고서는 지난달 11일 우리나라와 중국의 사드 합의에도 불구하고 양국 협력이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 되고 중국소비자의 반한감정이 복원되기 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보고서는 지난 2012년 조어도(일본명: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으로 우리나라보다 먼저 중국의 경제적 보복을 당했던 일본의 사례를 벤치마킹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양국은 조어도 일대에 석유와 천연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확인한 후 영유권 분쟁을 일으켰다. 이 분쟁이 심화되며 중국내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확산됐다.

이에 지난 2010년 중국 소비재 시장에서 16.8%를 점유했던 일본은 갈등 이후 지속적으로 비중이 감소하며 2013년 8.7%까지 축소되기도 했다.

일본 기업들은 영유권 분쟁 이후 '차이나 플러스 원(China+1)' 전략으로 중국 투자를 줄이고 동남아로 생산지 이동을 가속화하며 중국 시장 의존도를 줄여나갔다. 또 반일감정이 적은 중국 내 젊은층과 소외도시에 마케팅을 강화했다.

아울러 일본의 철저한 위생과 안전을 반영한 유아용 기저귀나 비데 등 '메이드 인 재팬(Made in Japan)' 제품을 통해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일본 사례를 바탕으로 사드 갈등 이후 우리나라 기업들이 유념해야할 사항들을 제시했다.

우선 외교적 갈등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잔존하는 만큼 정부와 민간, 개별 기업 차원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 상시 운용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류 효과 역시 언제 소멸할지 알 수 없음으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상해와 저장성 등으로 대표되는 동부지역 및 대도시 외에 3, 4선 도시 및 내륙 소비시장에 진출하는 '차이나 플러스 차이나(China+China)'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는 중국 인터넷 소매에 대응하고,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한 80∼90년대 생의 구매 특성에 맞는 유통 및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급성장하는 중국 자국 브랜드에 밀리지 않도록 우리나라 소비재 기업 위상의 재정립도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마지막으로 통관거부 등 중국의 까다롭고 모호한 규정과 절차 등에 대한 전문가 컨설팅 등 정부차원에서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빛나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사드 갈등으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있었으나 이번 기회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 우리의 본질적인 경쟁력을 되돌아보고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는 인식 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