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긴밀한 협력체계가 요청된다. 전북 고창에 이어 전남 영암에서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해 전국으로 전파될까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당장 경남 고성에서 채취한 분변 시료검사에선 H5형N2형 AI 바이러스가 검출도기에 이르렀다.

이번 AI 발생에서 영암이 국대 최대 오리 주산지 가운데 한 곳이라는 점에서 걱정이 크다. 해당 농가는 다른 농장으로 새끼오리를 공급하는 곳이라 당국이 더욱 긴장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부터 주변 농장 10곳에 새끼 오리를 18만 마리 넘게 분양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는 반경 3km 이내 농가 5곳의 오리 7만6000마리를 긴급 매몰 처분했다. 전남뿐만 아니라 전북과 대전, 충남 등 6개 시도에도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정부는 바이러스 유입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AI 대비책을 촘촘히 마련해야겠다. 방역당국이 전국 확산 방지에 나선 가운데 AI 사태가 왜 매년 반복되는지, 근본적인 대처방안은 없는지에 대한 비판여론이 높아지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정부는 초동 대처를 강조하지만 고병원성 AI는 이미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AI를 최전방에서 막아야 할 수의직 공무원인 가축방역관도 제대로 충원하지 못하는 등 정부 대책 곳곳에서 문제가 드러나고 있잖은가.

AI는 철새이동에 의한 감염이 원인으로 밝혀졌지만 일단 유행하면 대규모의 가금류가 살처분돼야 하는 등 축사농과 음식점 등 민생 피해가 적지 않다. 농가 전담 공무원을 활용해 예찰 활동을 벌이는 것은 물론 광역 방제기와 소독차량을 동원해 소독 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현 방역체계로는 인력과 장비 면에서 한계가 적지 않다. 고병원성 AI는 전파 속도가 워낙 빨라 자치단체 차원에서 소독 등 방역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 정부차원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아울러 글로벌 시대, 특히 국제 공제에 힘써야 한다. 한·중·일 정보 공유에도 협조체계를 구축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