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국 특히 미국의 추가 기준금리 인상 조짐으로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에 더욱 강한 적신호가 켜졌다.

4년 만에 수장이 교체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주도로 한 각국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에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되면서 글로벌 주가가 큰 폭으로 조정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번 주에는 영국과 호주, 뉴질랜드, 인도, 필리핀, 러시아, 브라질, 페루, 폴란드 등의 기준금리 결정이 예정돼 있다.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전망이 기존 3차례에서 4차례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1.50%로 미국 정책금리 상단과 같다. 그런데 6일 미 월가에서 올해 연준 금리 인상 기대가 강화되는 분위기라는 데 심각성이 있다. 주요 해외투자은행(IB) 1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금리 4차례 인상 전망이 6곳에 달했다. 한 달 전 조사 때보다 2곳 늘었다. 3차례 인상 전망도 9곳으로 1곳 많아졌다. 반면 2차례만 인상한다고 보는 기관은 4곳에서 1곳으로 줄었다.

미 연준은 지난달 정책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했지만 탄탄한 경제 성장세와 고용지표 호조를 바탕으로 물가, 정책금리 전망 표현을 일부 긍정적으로 조정한 것이다. 연준은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2%를 밑돌고 있으나 올해 확대돼 중기적으로 2%에 수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리 인상에 속도가 붙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더구나 제롬 파월 신임 연준 총재가 처음 주재하는 3월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 전망도 더욱 확산되고 있는 추세도 주목 대상이다. 인플레이션 증대 조짐에 따라 미국 연준의 연중 금리 인상 기대도 강화되는 분위기임을 고려해 우리 금융당국은 향후 인플레이션 지표 움직임, 연준 지도부 구성 변화, 감세의 경제적 효과 등을 계속 주시해야 할 것이다.

물론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전망에 한은 고민도 커지게 될 것이다. 당장 다음 달 양국 정책금리 역전이 예상되는 데다 앞으로 격차가 더 빨리 확대되면 한국 경제에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사실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속화하면 한국 경제는 거친 소용돌이 속에 빠질 수밖에 없다. 한미 금리역전이 임박했는데, 대응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같이 올리자니 1400조원까지 불어난 가계부채가, 버티자니 700조원에 달하는 외국인 자금 이탈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빠른 시간 안에 소득을 늘려 빚 부담을 줄여 전세계적인 금리정상화 대열에 동참할 체력을 갖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변화가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대응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우리는 외부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높이려면 경제의 기초여건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국경제의 취약한 가계 부채에 충격파를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정책 수립이 돼야 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