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탓하기 바쁜 ‘국정농단 사건’
제 잘못 인정하는 이 하나없어

요즘 국정농단 재판을 보노라면 묘한 감정이 솟아 오릅니다. 단 한 사람도 ‘모든 것이 저의 잘못입니다’ 하는 사람이 없습니다. 모두가 다 대통령이 시켜서 한 일이고, 윗사람이 시켜서 한 일이며, 나는 잘못이 없다고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그런데 왜 그 엄중한 법의 심판대에 서는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회광반조(廻光返照)라는 말이 있습니다. 임제 의현(義玄) 스님의 ‘임제록(臨濟錄)’에 나오는 말로, ‘빛을 돌이켜 거꾸로 비춘다’ ‘해가 지기 직전에 일시적으로 햇살이 강하게 비추어 하늘이 잠시 동안 밝아지는 자연 현상’ 또는 ‘죽음 직전에 이른 사람이 잠시 동안 정신이 맑아지는 것을 비유하거나, 사물이 쇠멸하기 직전에 잠간 왕성한 기운을 되찾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성찰하는 것’을 말하기도 하지요.

‘爾言下便自回光返照 更不別求 知身心與祖佛不別)’. ‘너는 말이 떨어지면 곧 스스로 회광반조할 것이며, 다시 다른 데서 구하지 말 것이니, 이러한 신심(身心)은 불조와 한 치도 다르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 ‘회광반조’는 선종(禪宗)에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돌이켜 반성해 진실한 자신, 즉 불성(佛性)을 발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회광반조’라는 말은 “사람이 살면서 자신의 욕심에 끌려 세상을 온전히 바라보지 못하다가 죽을 때가 임박하면 온전한 정신이 한 번 생기고, 바로 이 맑은 정신을 가지고 지나온 자기 일생을 돌아보며 반성한다는 것”입니다. 촛불은 다 타서 꺼지기 직전 마지막으로 한번 확 타오르고, 태양은 지기 직전에 화려한 색깔을 내뿜으며, 사람은 늙어서 죽기직전에 얼굴에 화색이 돌면서 정신이 맑아집니다.


빛을 돌이켜 거꾸로 비춘다는 뜻
스스로 자신을 성찰할 줄 알아야


이것을 불교의 선종에서는 “자기 밖의 욕망을 향하는 시선을 자기 내면으로 돌이켜서 자성을 직시한다”는 의미로 가다듬어 선의 방법론을 삼았습니다. 일거수일투족이 내게서 비롯되는 것으로 일거수일투족이 마음 아닌 것이 없음이라 일상의 모든 것을 안으로 돌이켜 보는 것입니다.

우리가 남 탓할 때가 아닙니다. 내가 어떤 생각을 할 때 생각함을 알고, 내가 어떤 말을 할 때 말함을 아는 것입니다. 자신의 언행을 알면 바로 알 수 있는 것인데, 어찌 모든 것이 대통령이 시켜서 한일이고, 윗사람의 잘못이지 나는 죄가 없다고 할 것인지요?

소태산(少太山)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너희들은 절대로 관상을 보러 가지도 말고 사주도 보러 가지 마라라. 오직 수도(修道)와 마음공부를 잘해서 마음을 잘 쓰게 되면 사주팔자를 뜯어 고치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시었습니다. 그러면서 즐겨해 주시는 예화를 하나 해주셨습니다.

중국 당나라 때 배도라는 사람이 있었다. 키가 5척 그러니까, 1m50㎝ 밖에 되질 않으며, 그 인물이 어찌나 못생겼던지 보는 사람들마다 한결같이 다 빌어먹을 팔자라고 말했다.
서당을 가도 친구들이 ‘너는 빌어먹을 팔자인데 공부는 해서 무얼 하려냐’고 놀리게 됐다. 집에 가서 어머니를 원망했다. 왜 나를 이렇게 낳았느냐고. 그 어머니도 비록 자기가 낳은 자식이지만 워낙 못생긴 터라 어찌 할 수가 없어서 ‘저 윗마을에 사주관상을 잘 보는 사람이 있는데 한 번 보러가자’고 해서 데리고 갔다.

그 사주관상쟁이는 멀리서 사람을 바라다만 봐도 척척 알아보는 위인이었다. 정승이나 판서감이 찾아오면 뜰아래 까지 나와서 영접해 들어가고, 작은 벼슬을 할 정도의 인물이면 마루까지 나와서 영접해 들어가는 사람이었다. 배도가 대문 밖에 나타나자 방에서 내다보지도 않았다. 한 눈에 빌어먹을 팔자였기 때문이다.

배도 왈 “에이 빌어먹을. 어디 두고 보자 내 이 사주팔자 고쳐 버려야지”했다. 그리고 10년을 작정하고 공부해 과거에 응시해 급제를 하고 말았다. “요놈의 관상쟁이 이렇게 될 나를 내다보지도 않았지” 벼르고 허름한 옷으로 갈아입은 뒤 다시 찾아갔다. 그랬더니 배도가 사립문에 들어서자마자 버선발로 내려와 영접해 들이고 따로 정중히 예를 표했다.

“그동안 어데서 무슨 마음으로 무슨 공부를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 때는 빌어먹을 상이었지만, 지금은 당신 얼굴과 몸에 밝은 기운이 돌고 있어 상서롭기만 하외다”하더란다.
그러면서 소태산 부처님은 “너희들은 내가 시키는 대로 마음공부만 잘하면 부처가 되고 팔자를 고치는 것이다. 그러니 사주관상 보러 다니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지요.


권력만 좇다 자신을 놓치는 꼴…
내면시선 밖 아닌 안으로 돌려야


그럼 마음공부는 왜 할까요? 부처가 되고자함입니다. 그런데 부처를 이루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수행자가 있습니다. 반대로 부처를 이루는 길을 알고 보면 수월하고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수행자들도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마음이 ‘원래는 부처’라는 것을 모르면 부처가 되는 것이 어렵다고 할 것이고요, 우리의 마음이 원래가 부처이니 무명(無明)만 털어버리면, 부처라는 길을 알고 수행하면 효과가 잘 나타나고 그리고 재미가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몸이 법당이요, 이 마음이 원래 부처’인 것입니다. ‘원불교전서’ 성리품(性理品) 15장에 도를 찾는 얘기가 나옵니다.
소태산 부처님께서 봉래정사(蓬萊精舍)에 계시더니 선승(禪僧) 한 사람이 금강산으로부터 와서 뵈옵는지라, 물으시기를 “그대가 수고를 생각하지 아니하고 멀리 찾아왔으니 무슨 구하는 바가 있는가?” 선승이 사뢰기를 “도를 듣고자 하나이다. 도의 있는 데를 일러 주옵소서” 소태산 부처님 말씀하시기를 “도가 그대의 묻는 데에 있느니라” 선승이 예배하고 물러 가니라.

선승이 금강산에서 부안봉래정사까지 찾아옴은 구도의 정열이 대단한 사람일 것입니다. 그런 사람에게 ‘도가 그대의 묻는데 있다’는 것은 언하(言下)에 분별이 끊어지게 해 공적영지(空寂靈知)의 자성(自性)을 회광반조하게 하는 말씀이 아닐 런지요?
이처럼 중생은 시선을 안으로 돌리지 않고, 밖을 향해 두리번거리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런 사람들은 권력을 향해 헐떡이다가 자신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그리고 자신이 어디로 가고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자각하지 못하고 마침내 형무소 붉은 벽돌 담장 안으로 끌려가는 것이지요.

빛을 스스로 돌이켜 자신의 내면을 비추어 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밖으로 향하지 않고 자신을 돌이켜 비추어 보는 것을 선(禪)에서는 ‘회광반조’라고 합니다. 늘 회광반조를 하고 사는 사람은 자리에 연연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정신없이 권력을 탐하지도 않고 결코 영어(囹圄)의 몸은 되지 않겠지요. <덕산 김덕권 원불교 전 문인협회장>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