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아웃을 배려하는 마음을 좀 더 발휘해야겠다. 기부문화는 인간 공동체를 훈훈하게 하는 촉매제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기부문화는 현재 복지시설, 재단법인, 사단법인 등이 지정기부금단체를 신청해 기부하는 이들에게 기부금영수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것이 일반적인 기부이며, 특별한 기부는 언론사나 종교, 사랑의 열매 같은 기부단체가 있다. 보통 현금기부, 물품기부, 재능기부로 대표된다. 이 모든 부분은 일정 비율로 기부금액에 대한 세금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기부참여자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등 나눔에 인색한 사회가 되고 있는 현실이라는 점이다. 특히 기부에 참여하는 중산층과 고소득자의 비율이 최근 수년 사이에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집계돼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기부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이들은 2011년 조사 때는 응답자의 36.4%였으나 2017년 조사 때는 26.7%로 9.7% 포인트 감소했다고 한다. 응답자를 소득 수준에 따라 분석해보니 상대적으로 많이 버는 이들의 기부 참여율 감소가 두드러졌다. ‘가진 자’들의 사회 환원 의식이 희박하다는 것은 극히 우려스런 현상이다.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의식 계몽 운동이 절실하다. 예컨대 세제 개편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특별한 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서 단 10만원의 기부를 유도하는 것조차 만만치 않은 현실이다. 자산이 많은 거부들도 한 곳에만 기부하기가 어렵고, 노조나 가족의 눈치가 보이며, 때로는 세무조사 우려가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핵심은 역시 선뜻 기부할 마음이 내키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세제 혜택까지 열악하니 구두 몇 켤레가 닳아도 모금은 어렵기만 하다. 국민 행복은 사회양극화로 자살률 세계1위, 출산률 세계 꼴찌의 불행한 현실 속에서 5천만 국민에게 희망으로 받아들여지는 지상과제다. 기부문화 정착을 위한 선진형 세제 개편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