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주역 ‘청춘들의 좌절’이 가슴을 친다. 15~29세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직장을 구하지 못하면서 청년 실업자가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했거나 구직 중인 20대 경제활동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60세 이상 노인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에 청년 실업까지 겹친 결과다.

지난해 20대 경제활동 인구는 406만 3천 명으로 일 년 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60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는 421만 명으로 일년전보다 25만 7천명 증가했다. 60세 이상 노인은 일 년 전보다 49만 5천 명이나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1천만 명을 넘어섰다. 60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가 400만 명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악화된 청년 고용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갈수록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도 한 몫 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회에 첫발도 디디지 못하고 실업자라는 아픔을 느끼는 이 땅의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데 기성세대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기존의 청년 펀드 조성 같은 반짝 아이디어로는 결코 실업 해소 같은 국정의 핵심과제를 풀 수 없다. 대신 경제를 활성화하고 경제구조를 재편하면 일자리는 저절로 뒤따른다. 그게 바로 정부의 역할이다. 통계를 보면 대기업의 고용분담률은 11%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이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일자리 해법은 대기업 일변도에서 탈피해 중소기업이나 중견기업, 벤처창업 육성과 내수 활성화, 골목상권 보장 등에서 찾는 게 마땅하다.

일본의 정책을 벤치마킹해야겠다. 일본은 규제 혁파, 법인세 인하, 양적완화를 내용으로 한 아베 노믹스가 효과를 거두면서 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소니 등 죽어가던 일본 기업들은 되살아나 20년래 최대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일손이 모자라 구인 행렬이 줄을 잇고 있어 우리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일본기업에 취업하는, 이른바 ‘두뇌 유출’이 심각할 정도이니 여간 걱정이 큰 게 아니다. 고용을 늘리기 위한 뒷받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