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무사 안일한 경영 행태가 비판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글로벌 시대 선진 외국은행과의 경쟁력 제고 노력은 뒷전인 채 가산금리 비중을 늘려 ‘땅 짚고 헤엄치기 식’ 이윤 증대만을 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똑같은 신용도의 사람이라도 어느 은행에 가느냐, 언제 가느냐에 따라서 금리가 달라 ‘고무줄 이자’라는 비아냥마저 나오고 있다. 오죽하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최근 "금융 소비자 보호차원에서 은행권 스스로 합리성에 대해서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할 정도다.

금감원이 전수 검사를 해 본 결과 금리 결정에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에 개개인 신용도에 따라 더하는 가산금리의 경우, A은행은 작년 4월에 이를 1.3%로 책정했다가 한 달 만에 1.5%로 0.2%포인트 올렸다. B은행도 2016년 5월 1.06%에서 한 달 만에 1.41%로 0.35%포인트나 높였다.

문제는 한은이 같은 기간 기준금리를 올린 것도 개인 신용도가 변한 것도 아닌데, 대출 상담을 먼저 받고 실제 대출은 한 달 뒤에 받았다면 꼼짝없이 인상된 이자를 내야 했던 것이다. 30년씩 유지되는 주택담보대출에선 이자 차이가 더 커지는 비합리적 구조인 것이다. 예컨대 연 3.5%로 1억 원을 빌려 30년을 유지하는 데 비해 0.35%포인트가 높은 연 3.85%로 30년을 빌렸다면 원금 아닌 이자로만 711만 원을 더 내야 하는 것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은행들은 가산금리 장사에 이자가 춤추는 명확한 이유를 고객들에게 명쾌히 해명할 필요가 있다. 국민은 1천450여조원의 가계부채에 허리띠를 졸라매느라 숨이 막힐 지경인데 금융사는 서민을 쥐어짠 무자비한 손으로 고액연봉과 배당 등 '돈 잔치'를 벌이고 있으니 은행 고객의 원성이 높아지고 있다. 오로지 서민과 중소기업을 상대로 이자와 수수료를 뜯어내 이익을 내는 금융자본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정부도 약탈적 영업을 묵과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