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취재팀 정우교 기자
[일간투데이 정우교 기자]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실제로 독자들은 어떤 것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지 묻고 싶다. 연봉? 근무시간? 비전?…아마 개인의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취업사이트 잡코리아 설문조사를 살펴보면 직장 선택 기준은 경력 유무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직은 '근무시간 보장', 경력직은 '연봉 수준'이라고 답한 것이다.

설문조사 중 주목한 것은 '근무시간 보장'이다. 신입직에게서 '연봉'이란 최저임금·근무시간의 조정과 '워라밸'의 바람을 타고 어느새 후순위로 멀어지고 있다. 동 설문에서 '연봉'은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 직장 선택 기준에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생각해보고자 한다. 답변을 살펴보면 기존 근로환경 이슈가 터졌을 때 한번쯤은 대두됐던 문제들이다. 근무시간이 그랬고 연봉문제가 그러했다. 따라서 본인의 새로운 직장이 이것들을 채우길 바라는 마음에 구직자들은 위와 같이 답했다고 본다. 분명히 가볍게 넘길만한 설문은 아니다.

기업도 이 바람에 응답하고 있을까. 지난 2월 28일 '근로기준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의결되고 국회를 통과한 이래 기업들은 분주한 모습이다. 근로시간을 단축하거나 신규 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다.

한동안 근로시간 논란의 중심에 섰던 어느 게임회사도 지난달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취업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아직 모든 기업들이 이러한 '바람'에 긍정적인 것은 아니라고 본다. 기업이 '근로시간 감소는 곧 생산성이 줄어들 수도 있다'는 걱정이 드는 것도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 무작정 제도 개편은 무리라는 판단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업의 걱정을 무작정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지양해야할 것이다.

정부도 기업의 이같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꾸준한 정책적 지원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단순 법개정만이 능사가 아니다. 이 과정에서 구직자-기업-정부의 또다른 '밸런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과 삶의 균형, '워라밸'처럼 말이다. 구직자의 바람, 기업의 응답, 정부의 환경 조성이 유기적으로 이뤄진다면 모든 생산활동의 기본인 근로자의 직장 선택 기준도 조금 더 명확해지지 않을까라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