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혁신밸리'서 농업-전후방산업 동반성장모델 확산

▲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에서 김종훈 차관보가 스마트팜 확산 방안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배상익 기자] 정부는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농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4차산업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도입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기존의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 정책대상을 ▲청년 농업인력 양성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 ▲집적화된 확산거점 조성 등을 통해 혁신모델을 창출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팜 확산·고도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는 우선 내년부터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이하 ’보육센터‘) 4개소를 지정하고, 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오는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또한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 등이 막대한 초기 시설투자 없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도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을 창업 또는 승계받거나 규모 확대를 원하는 청년들에게도 정책자금, 농지임대, 투자유치 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기존 ‘스마트팜 종합자금’을 청년에 맞게 특화시킨 ‘청년 스마트팜 종합자금(금리 1%, 최대 30억원)’을 올해 1월에 출시하면서 기술력과 가능성 중심의 투자를 위해 대출 심사 시 이례적으로 기존의 재무평가(30%)를 제외했다.

또 올해 사업대상 시·도를 선정, 2021년까지 4개 거점별 핵심시설(청년창업 보육센터, 임대형 스마트팜, 실증단지)을 구축해 체감성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이번 대책을 통해 2017년 현재 스마트팜 시설원예 4,010ha, 축사 790호는 2022년까지 각각 7천ha, 5천750호로 확대되고, 규모 확대에 따른 연관 산업 성장으로 4천300여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600명의 전문인력이 양성될 전망이다.

특히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정부는 인력양성과 기반조성을, 농업인-기업-연구기관은 협력을 통해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농업과 연관 산업에 재투자가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