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硏 '2018년 연구성과 발표·정책세미나'
민간데이터 활용해 다양한 정책 방향 설계"

▲ 임은선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장이 지난 18일 세종시 국책연구단지에서 열린 '2018년 연구성과 발표 및 정책세미나'에서 '빅데이터 시대의 국토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국토연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공공빅데이터와 민간빅데이터를 융합해 국토정책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은선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장은 지난 18일 세종시 국책연구단지에서 열린 '2018년 연구성과 발표 및 정책세미나'에서 개인신용·카드매출·기업거래 빅데이터를 활용해 혁신도시 인구이동과 소비패턴변화, 기업활동 변화 등의 모니터링 사례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신한카드 빅데이터팀이 지난 2012년과 2016년 두 시점 동안 광주전남혁신도시 거주인구의 신용카드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총 구매액은 2012년 약 16억원에서 2016년 82억여원으로 약 4∼5배 증가했다. 여성의 소비는 6.4배 상승, 특히 30대 여성의 구매액수는 약 13.1배 상승했다.

임 본부장은 "소비액수 비중을 기준으로 거주인구의 구성은 이전에 비교해 젊어진 것과 소비액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젊은 계층의 소비액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다"며 "민간 카드 소비 데이터를 활용해 혁신도시의 건설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결과도 얻었다"고 말했다.

또 KED 기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업구성 및 거리패턴의 변화를 분석한 사례도 공개했다.

국토연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 광주·전남혁신도시의 건설이 1차 완료된 직후인 2016년까지의 기업현황 변화와 2016년의 최근 산업구성 및 거래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혁신도시 건설 이후 전체 기업의 수가 증가해 나주시의 기업활동이 보다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폐업기업의 수 역시 많이 증가해 기업활동이 다소 불안정하다는 결과도 도출할 수 있었다.

임 본부장은 국토인프라에 대한 공공빅데이터와 사회경제현상을 담은 민간빅데이터를 융합하면 ▲생활 사막(Life Deserts) 지역의 주민편의 향상을 위한 찾아가는 생활지원서비스 개발 ▲낙후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기존 인프라 공유 및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지역별 생활인프라 이용여건 격차 해소를 위한 생활인프라이용 취약지수(LVI) 개발 및 모니터링 실시 ▲생활취약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부처별 지역개발 사업의 융합적 추진과 협력체계 마련 등 다양한 국토정책 방향을 설계할 수 있다고 예를 들었다.

해외 선진국 사례를 보면 영국과 미국, 일본은 빅데이터 전략을 수립해 정부 서비스의 혁신을 도모, 국방·보건·환경·에너지 등 부처별 다양한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추진해 지역의 각종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예산절감 효과도 얻고 있다.

그는 데이터기반의 국토정책 혁신 전력과 추진과제로 ▲데이터기반의 국토정책 프로세스의 혁신 방향과 활용 전략 ▲국토·도시 정책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전략 ▲빅데이터 시대의 국토정책을 위한 추진 과제 등을 꼽았다.

아울러 국토공간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한 스마트국토·도시 실현을 위한 혁신과제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본부장은 "국민 삶의 질과 민생경제를 진단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발굴 및 활용이 시급하다"며 "도시재생·지역경제 등 정책 수립 시 유동인구와 체류인구, 소비패턴, 부동산거래, 생활인프라 접근성 변화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적인 국토와 국민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인벤토리를 구축해 공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