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다운 나라’ 건설을 내걸고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10일로 1년을 맞는다. 적폐청산과 통합을 내걸고 문 대통령이 국민 선택을 받았던 것이다. 문재인 정부 1년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탄핵했던 '촛불 혁명' 정신을 승화, 과거와 결별하고 새롭게 거듭나려는 시도가 연속된 한 해로 평가된다.

무엇보다 문재인 대통령은 ‘격의 없는 소탈한’ 지도자의 모습을 보인 게 신선했다. 탈 권위다. 직전 대통령과 다른 소통의 리더십을 보여줘 절대다수 국민으로부터 갈채를 받았다. 문 대통령은 당선 첫날 오후 춘추관에서 직접 브리핑을 갖고 국무총리·국가정보원장·대통령비서실장·대통령경호실장 인사를 발표했다. 대통령이 직접 인선과 배경 설명에 나선 일도 이례적이었다. 이전 정부 당시 인선이 주로 청와대 홍보수석이나 대변인을 통해 발표된 것과 대비됐다.

파격과 소통으로 대변되는 문 대통령의 리더십이 각인돼 임기의 5분의 1이 지났음에도 최근 다수 여론조사에서 80%를 넘나드는 국민 지지도를 이어가고 있는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오늘날 같은 열린사회에서 대통령이 성공하려면 경직된 권위를 벗어던진 과감한 소통 자세, 비정치적 여유와 편안함, 선택과 집중, 시대정신 이해 등을 기초로 취약한 정치력을 회복해야 하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년 간 안으론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캐치프레이즈로 적폐청산에 속도를 내고 불의와 관행으로 점철된 과거와 결별을 선언해 다수 국민의 지지를 얻었다. 정의와 공정을 명분으로 한 이른바 적폐청산 작업을 숨 가쁘게 이어갔고, 국민보다는 정권 보위에 앞장섰던 권력기관의 핵심인 국가정보원과 검찰을 수술대 위에 올려 대대적인 인적 청산을 단행했다. 교과서 국정화 폐기와 공론화를 통한 원자력발전 정책 전환 등 국민 눈높이 정책을 구사했다. 그 연장선에서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이 법의 심판대에 섰지만, 어떤 이들에겐 이게 '정치보복'으로 비쳐 반발이 따르기도 했다.

어려움이 작지 않았다. 남북관계와 한반도 안보의 불안정성은 대표적이다. 임기 초반 북한의 거듭된 미사일 도발과 핵실험,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배치에 대한 보복 등 외교안보분야에서 험난한 길을 걸었다. 북·미 간 극한 대립으로 전쟁 위기로 내몰렸던 한반도 안보 지형이었다. 그러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 신년사를 통해 남북대화를 제안해 오고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 김여정 부부장을 비롯한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한다.

남북 해빙무드는 마침내 4·27 남북정상회담 판문점선언으로 정점을 찍게 된다. 5월말 6월초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핵의 ‘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폐기(PVID·Permanent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를 확인하면 한반도 평화구축과 동북아 안정, 평화세계 실현에 이정표를 세우리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문 대통령에게 주어진 과제가 적잖다. 내건 공약 중 실현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이 가운데 청년취업 지수 개선과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를 통한 경제 활성화 공약 실천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문 대통령과 여당은 야당을 국정의 한 축으로 인정, 수시로 만나 허심탄회하게 정국을 논의해야 한다. 국민대화합의 내치를 기반삼아 통일된 선진복지국가를 건설해 21세기 한민족의 시대를 열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