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제4차산업혁명과 일자리 전망' 세미나 개최
"일자리, 적응노력에 달려…혁신 대응 논의기구 만들어야”

▲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최근 4차산업혁명이 제조업 전 분야로 확산되면서 일자리 소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기술진보 자체보다는 자동화되는 직무 변화에 맞는 경제주체의 대응에 따라 일자리 수와 질이 영향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4차산업혁명과 일자리 전망' 토론회에서 "4차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일자리 수 증가와 일자리 질 향상 여부는 기술자체보다 기술진보에 대응해 경제주체들이 어떻게 제도적·정책적 적응을 하는지에 의존한다"며 "노·사는 혁신적 변화에 어떻게 적응할지를 논의할 기구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이날 토론회에서 정혁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4차 산업혁명, 일자리와 노동'이라는 발제를 통해 "4차산업혁명으로 극단적으로 일자리가 사라지기보다는 개별 노동자의 직무 중 일부가 자동화되는 변화가 더 현실적이다"며 "한국은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자동화로 대체되는 노동력 비중이 OECD 국가 중 가장 낮게 나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 소멸보다 자동화되는 직무 증가에 따른 소득 변화와 새로운 직무의 등장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최병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전략연구그룹장 또한 '4차 산업혁명과 기술변화, 일자리'라는 발제를 통해 "4차산업혁명이 본격 전개되면서 기계가 사람을 대체해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기술발전은 또 다른 분야의 혁신으로 연결된다"며 "기술발전은 우리가 생각하지도 못했던 새로운 산업, 직업과 일자리를 만들기 때문에 이런 기술변화를 보다 빨리 받아들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선점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영 포스코ICT 신사업개발그룹장은 자사의 '스마트 POSCO' 구축 사례를 소개했다. 김 그룹장은 "포스코ICT는 현장의 엔지니어들이 직접 손쉽게 데이터 수집, 분석, 모델링을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해 제공하고 포스코 인재창조원과 함께 AI(인공지능)·빅데이터 과정 교육 운영을 통해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직무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며 "직접 철광석을 샘플링해 품질을 확인하고 쇳물의 온도를 재는 저숙련 노동자는 줄어든 반면 인공지능을 해석하고 철강산업에 적용하는 전문인력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