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취재팀 정우교 기자
[일간투데이 정우교 기자] 강제징용 피해가 이번에는 제대로 알려지게 될까. 지난 24일부터 개최되고 있는 제42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일본 근대산업 시설 세계유산 등재 후속 조치 이행건이 의제로 다뤄졌다.

지난 2015년 일본의 근대산업시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당시,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에 각 시설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전략을 마련할 것을 권고한 적이 있다. 이번 결정문에서는 당시 결정을 상기하고 그것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네스코가 권고한 '전체 역사'안에는 군함도(하시마 섬)를 비롯해 일본 각지의 섬으로 끌려간 조선인들의 강제징용 역사도 분명 존재한다. 2015년 일본은 강제노역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권고문에서 후속 조치 이행에 대한 요구가 재차 있었다는 것은 일본 정부가 이야기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유산 관련 보전상황보고서'에서 '강제'라는 표현을 쓰지 않고 '지원'이라는 표현을 써 문제가 된 적이 있다.

결국 일본 정부의 지난 3년은 '거짓'이었다는 말이다. 자신의 발언에 책임지지 않고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을 보면 일부 언론에서 보고서를 가리켜 사용한 '꼼수'라는 표현이 가볍게 느껴질 정도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병현 주유네스코 대사는 금번 결정문에 대해 2015년 결정문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한‧일 양자 협의를 지속해 나가는 한편, 일본이 일본 근대산업 시설 세계유산의 전체 역사의 해석전략을 마련하는데 있어 국제 모범 관행을 고려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지난 2015년 결정문을 상기하고 당사국간(한국-일본) 대화를 독려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외교부는 평가했다.

앞으로 더 중요한 일이 남았다고 생각한다. 우선 피해자들의 피해신고를 재개해 정확한 사실과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첫번째, '강제징용'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는 것이 다음이다. 그동안 우리의 피해 역사에 대한 자료와 증언을 수집하는 것이 미흡하지 않았나 스스로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일본 정부도 약속을 이행하기 바란다. 자신들의 국기(國旗)에 붉은 색 사선 몇개 넣는다고 대국(大國)이 되지 않는다. 공식적인 입장이나 발언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그 정부의 수준을 나타낼 뿐이다. 이번 일뿐만 아니라 먼 과거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제대로 보기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