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재' 국가·기업의 미래 성패 요인…글로벌 경쟁 과열
日 기업, 임금체계 변화…정부는 대학·민간 교육에 총력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간투데이 임현지 기자] 미국과 중국이 자율주행자동차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AI(인공지능) 전문가 확보를 위한 행보가 활기를 띠는 가운데 일본도 추격 채비에 분주하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최근 발행한 'ICT 브리프(Brief) 2018-25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최근 'AI 인재 기반 확립'을 새로운 '통합 혁신 전략'에 포함시키고 민간 업계는 대규모 임금 제시 등으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AI로 대표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글로벌 양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은 인재 역량 강화를 위한 전폭적 투자와 지원을 이어가며 주도권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은 AI 연구센터 확장을 가속화하며 글로벌 인재 확보에 나선 '구글'이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초 구글은 중국 베이징에 '구글 AI 중국센터'를 설립하고 중국의 우수한 AI 인재를 미국 본토로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또 다른 ICT(정보통신기술) 강국인 중국은 3대 인터넷기업인 바이두와 알리바바, 텐센트를 필두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활약하고 있는 자국 인재를 다시 중국으로 확보하는데 분주하다.

바이두는 전 야후 총재이자 마이크로소프트(MS)에 재직했던 루치와 자연어 분야 최고 권위자인 MS출신 케네스 워드 처치 영입에 성공했다. 알리바바는 아마존에서 '아마존 고'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런샤오펑 박사와 양자컴퓨터 분야의 마리오 세게디를, 텐센트는 당사의 시애틀 AI 연구실을 담당하는 위둥 등 영향력 있는 자국 전문가를 유치했다.

이처럼 각국의 인재영입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이유는 세계적으로 AI전문가 부족 현상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텐센트와 구인구직사이트 보스(BOSS)가 지난해 말 공동 발간한 '글로벌 AI 인재백서'에 따르면 세계 시장에 필요한 AI인재는 100만명에 달하지만 실제 활동하는 전문가는 30만 명에 불과했다.

특히 일본은 학력과 근속연수를 따지는 연공서열로 인한 경직적인 임금체계가 IT인재 유치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전체 산업계 평균 연동대비 IT기업의 평균 연봉은 미국이 2.4배, 중국·인도가 7∼8배에 이르는 반면 일본은 1.7배에 불과했다. 금액으로 살펴보면 미국 IT기업의 평균 연봉은 1천200만엔이지만 일본은 이에 절반에 해당하는 600만엔 수준이었다.

이에 일본에서는 기업을 중심으로 서서히 임금체계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의류 모바일 전자상거래 회사 '스타트투데이'는 AI 기술자를 모집하며 최고 연봉으로 1억엔(약 10억원)을 제시했다. 파나소닉은 지난달 도쿄에서 AI 전략 설명회를 개최하고 올해 말 관련 인력을 500명으로 증원할 계획이다.

기업 뿐 아니라 일본 정부도 새로운 AI 인재 육성 정책을 마련하고 경쟁 우위 확보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지난달 5일 내각관방장관 주재 하에 '혁신 전략 조정회의'를 개최한 일본 정부는 '통합 혁신 전략'을 마련하고 세부 추진 계획에 'AI 인재 기반 확립'을 상정했다.

또 오는 2025년까지 AI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IoT(사물인터넷) 분야 등의 전문가를 매년 6천∼7천명 육성하고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쿄대 등 주요 6개 대학을 중심으로 IT 인재 교육·육성을 위한 수리·데이터 과학 교육 표준 과정 등을 개설할 예정이다.

통합 혁신 전략에는 민간단체 등이 실시하는 AI 관련 시험의 응시자 확대, 대학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육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개혁 내용도 포함 돼 있다.

IITP는 "AI 인재 발굴 및 육성은 국가와 기업의 미래 성패를 가르는 요인 중 하나"라며 "세계적으로 AI를 포함한 IT인재 경쟁이 치열한 만큼 우리 정부와 기업도 우수한 인력 확보를 위한 다각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