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역사적인 '9·19 평양 공동선언'을 뒷받침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이 가운데 비정치적·비군사적 분야에서의 협력 모델 구축이 주목된다. 철도와 도로 구축과 같은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등 남북 경협 관련된 내용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으로 합의된 것이다. 올해 안에 동해선·서해선 철도 및 도로연결을 위한 착공식 개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사업 우선 정상화,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 조성 등 남북 협력 방안 등을 꼽을 수 있다.

올해 4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선언문에서 명시됐던 내용을 다시 강조한 것은 철도·도로 등 SOC 건설 등 남북 경협에 대한 양측의 의지가 그만큼 확고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서다. 다만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남북 경협이 당장 급물살을 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국제사회 제재의 틀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우선 가능한 협력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단으로 방북한 국내 기업인들의 역할이 기대된다. 문 대통령 자신도 '한반도 신(新)경제지도'를 통해 남북 경협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했던 터다. 한반도 신경제지도는 금강산, 원산·단천, 청진·나선을 북한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한 뒤 남북이 공동개발하고 해안과 러시아를 연결해 동해권을 '에너지·자원 벨트'로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수도권과 개성공단, 평양·남포, 신의주를 잇는 서해안 경협벨트를 건설해 서해권을 '산업·물류·교통벨트'로 잇겠다는 포부다. 물론 북한은 현실적으로 가장 필요한 분야로서 전력과 철도·도로로 알려진 만큼 실현 가능한 분야부터 가시화되도록 착실히 준비해야겠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의 정상화도 과제다. 관건은 '환경 조성'이다.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해제다.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가 앞당겨져 한민족 경제공동체의 번영을 실현해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