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수익형 부동산시장 조정국면 지속 전망
한미격차 0.75%p…연내 한은 금리인상 여부에 촉각

▲ 서울 용산구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김현수 기자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 이후 서울 집값 상승세가 주춤한 가운데 미국의 금리 인상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부 정책의 영향과 금리 인상 등으로 주택시장은 물론 수익형 부동산시장은 당분간 조정국면을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6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2.00 ∼ 2.25%로 기존보다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는 0.75%포인트로 벌어졌다. 한국은 지난해 11월부터 1.5%를 유지 중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르자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확대되면서 한국은행(이하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도 현실화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문제는 이처럼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금리도 따라올라 빚을 내 집을 산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계부채 규모는 2018년 1분기 기준 1천468조원으로 10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일간투데이와 통화에서 "한은이 연내 금리를 인상할 경우 시중금리도 덩달아 올라가는데 이렇게 되면 부동산 시장에 흘러간 유동성이 감소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자 비용 부담이 늘어난 만큼, 상환능력이 취약한 저소득층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심교언 부동산학과 교수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절반가량이 생계형 대출"이라며 "정부가 투기수요를 잡기 위해 대출을 더욱 조이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들이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익형 부동산 시장 위축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보수적인 투자에 임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은 이미 예견됐던 부분이라 어느 정도 미치는 파급효과는 단기적으로 크지 않겠지만,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라면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장기적으로 금리가 앞으로 2 ∼ 3년간 상승 추세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매입 시 현금 비중을 높이고 대출을 줄여나가야 한다"며 "앞으로는 고금리에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으로도 한은의 금리 인상 여부가 부동산시장 주요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7일 취재진과 만나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은 이미 예견된 결과로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다만 "거시경제 상황과 금융 불균형 축적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줄여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연내 한은의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