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외국인투자가들이 올해 최대 규모로 주식과 채권을 팔아치우며 신흥국에서 자금을 빼 안전한 선진국으로 옮기면서 그나마 수익률이 견조한 주식까지 팔아치우는 등 차익실현에 나서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외국인투자가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3조2천여억원, 코스닥시장에서 7천600여억원을 순매도했다. 월별 기준 연중 최대 규모다.

외국인들이 한국시장에서 짐을 싸는 가장 큰 이유는 강달러와 금리격차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겹쳐 신흥국 비중을 줄이고 선진국으로 옮겨가는 큰 흐름이다.

이 같은 현상은 그간 예견했던 바다. 실물경제에 비해 금융이 지나치게 확대돼 있는 금융불균형 해소가 한국경제의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는 지난 9월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1.75~2.00%에서 2.00~2.25%로 0.25% 포인트 인상하면서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차가 0.75% 포인트로 벌어졌다.

설상가상 미국 금리의 연내 추가 인상과 신흥국 위기, 미·중동 관계 악화에 따른 유가 상승, 자영업자와 한계기업의 부실화,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등을 감안할 때 내년에 우리 경제에 퍼펙트스톰(초대형 복합 위기)이 오리라는 진단이 힘을 얻고 있는 현실이다.

통화당국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면밀한 대응이 요청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최근 금융불균형 해소를 언급하며 기준금리 인상 의지를 보여 주목되고 있다.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취지다. 따라서 한은의 11월 기준금리 인상 여부가 초미 관심이다. 저금리로 자금의 부동산 쏠림이 과도, 금융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는 판단이 발언의 배경으로 보인다. 1천500조원에 육박하는 과도한 가계부채에 대한 비상한 대책의 기반 위에 통화정책이 나오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