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줄기’와 같은 중견기업을 살려야 한다. 중소기업이 나무의 뿌리라면 중견기업은 줄기 같은 역할이기에 중견·중소기업이 살아야만 경제 활성화가 가능한 것이다. ‘탐스런 열매’를 맺을 수 있는 필요조건이다. 이런 측면에서 글로벌시대에 경쟁력을 갖춘 중견기업 육성이야말로 시급한 일이다.

정부 정책과 자금 지원, 신업인력 공급 등에 최우선적 순위를 둬야 함은 물론이다. 중견기업이 새 성장 돌파구를 찾아 중견 및 대기업으로 발전,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토록 하는 게 긴요하다. 중견기업계가 최근 국회에서 진행된 문재인 대통령의 내년도 예산 관련 시정연설과 관련, "악화하는 대외 여건, 제조업 침체와 고용 부진 등 암초에 둘러싸인 우리 경제 현실에 대한 대통령의 인식에 공감한다"고 밝힌 배경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중견련은 현실적 경영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52.8%, 항공·드론 42.8%, 시스템반도체 38.1% 등 수출 비중을 감당하는 중견기업들이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인상 등 급격한 정책변화로 기업 경영활동이 위축되고 있다는 하소연이다. 올해 수출 전망은 6천억달러의 외형적 성과에도 자동차, 조선 등 전통 주력산업 현장은 생존이 어려울 만큼 초토화됐다는 아픈 실정도 함께 전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의 어려움은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견기업이 되는 순간, 70여 개 새 규제가 기업을 옭아맨다. ‘피터팬 신드롬’, 곧 규모 키우기를 꺼리는 입장이다. 글로벌 시대 작지만 강한 강소(强小)기업인 ‘히든 챔피언’ 탄생을 기대하는 게 어렵다. 독일은 전체 기업의 0.57%, 일본은 0.55%, 미국은 0.53%가 중견기업인 데 비해 한국은 0.1%도 안 된다. 세계시장 점유율이 ‘톱3’에 드는 중견기업인 ‘히든 챔피언’의 경우 2015년 기준 독일이 1307개인 데 비해 한국은 60여 개에 불과하다. 한국에서 유독 중견기업 수가 적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물론 중견련은 정부가 데이터, 인공지능(AI), 수소경제 등 3대 전략 분야, 스마트 공장, 자율주행차, 드론, 핀테크 등 8대 선도 사업에 5조1천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한 데 대해 긍정 평가하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체계화된 정책이 나와야 한다. 정부가 중견기업의 애로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이들을 혁신성장의 한 축으로 삼겠다는 신(新)산업정책도 공염불이 될 수밖에 없다. 당국은 중견기업 진흥을 위해 예산 집행의 실효성을 높이는 측면에서 재정적·제도적 뒷받침을 하길 촉구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