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급증에 대한 비상한 대책이 요청된다. 가계부채는 첫 종합대책이 나온 2004년 494조원에서 지난 3분기엔 1천5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 경제를 짓누르는 '최대 위험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한국은행의 '3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514조 4천억원으로 전분기 말(1천492조 4천억원)보다 22조원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 말 1천400조원 돌파 이래 1년 만에 가계부채가 100조원 정도 급증한 것이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은 3조 6천억원 각각 빚 증가율이 둔화됐다.

하지만 소득 증가 속도가 이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어 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가계소득 증가율의 대용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전년동기 대비)은 지난해 3분기 5.2%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올해 3분기엔 -0.2%를 기록했다.

과도한 부채 구조조정이 시급하다. 더구나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가계부실 심화→금융권 리스크 전이→실물경제 충격'의 시나리오까지 제기된다. 당장 대출 금리가 1% 오르면 추가 이자 부담만 연간 9조원에 달한다.

이 같은 우려는 가시화되고 있다. 5대 시중은행 신용대출의 연평균 금리가 5%에 육박하면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한·미 간 금리 차 확대에 따른 국내 금리 인상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이를 선반영해 신용대출 금리 등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한계차주의 부실이 심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가계 부채 문제는 금융 쪽에서만 해결되는 게 아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도 참여해 가계 부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고용·창업 문제를 패키지로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깊이 인식하길 바란다. 중소상공인과 서민가계의 목을 죄는 금융부채 경감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경기 활성화와 부채 경감,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