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저하는 곧 기업경쟁력을 떨어뜨리고 근로자 소득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는다. 산업평화가 긴요한 이유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민주노총의 '11·21 총파업'에 이어 민주노총, 한국노총, 참여연대 등 52개 단체로 구성된 민중공동행동은 12월1일 국회 앞에서 대규모 정부규탄 민중대회를 연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탄생에 공을 세웠다고 자처하는 이른바 '촛불세력들'이 대정부 압박에 나서겠다는 얘기다. 민중공동행동은 탄력근로제 확대 금지, 대북제재 중단, 재벌청산, 국가정보원 해체, 국민연금 보장성 강화, 규제프리존법 폐지 등을 담은 10개 부문 요구안도 제시하고 있다.

여권이 중심을 잘 잡길 바란다. 당장의 지지율 하락을 걱정하기보다 원칙과 상식, 개혁의 대의에 맞는 정공법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불법 파업과 시위 등엔 엄중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양대 노총도 한국경제 현실과 상대적 빈곤에 허덕이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을 배려해야 한다. 상위 10% 노동자인 조합원들의 권익만을 지키는 한계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이다.

현 정부의 핵심 지지 세력으로 꼽히는 양대 노총과 참여연대 등 친정부 성향의 단체들이 문재인 정부 집권 2년차를 지나면서 역설적으로 정부 정책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탄력근로제 확대, 광주형 일자리 등 정부·여당이 경제 현실을 감안해 추진하는 정책마다 사사건건 반대하며 발목을 붙잡고 있다. 가관인 것은 경제·산업·노동 분야는 물론 통일 사회 복지 등 국정 전반에까지 '감 놔라, 배 놔라' 개입할 태세다.

누구보다 대기업노조가 수범을 보여야 한다. 대기업 노조는 이른바 '귀족노조' 행태를 보여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산업현장 곳곳에서 '고용세습' 문제를 놓고 노사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건 단적 사례다. '정권 창출 기여' 세력은 반대급부 권리만 주장할 게 아니라 경제사회적 책임을 돌아보고 '공성신퇴(攻城身退)' 미덕을 생각하길 촉구한다. 공을 세웠어도 뒤로 물러나 전문성과 합리성을 갖춘 여타 인사들이 일하도록 배려하는 게 온당한 처신이라고 본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