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 현실이 어둡다. 제조업 가동률이 70%에 머물고 있고 실업률은 20여년 전 외환위기 수준이다. 수출도 반도체에 의존하고 있다시피 하지만 중국의 추격세가 매섭다. 한국 경제의 활로를 열어야 한다. 한데 여건이 만만찮다. 대형 먹구름들이 한꺼번에 쉴 새 없이 몰려오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에게 위기는 이미 턱밑까지 와 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와 정치권, 기업이 '미래를 위한 실천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미래형 산업 4차 산업혁명 전략을 짜고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퍼스트 무버로서 주도권 잡기에 나서야 한다. 독일의 경우 공장자동화를 핵심으로 한 '인더스터리 4.0' 전략으로 해외로 나갔던 자국기업 공장이 다시 독일로 돌아오면 제2의 산업 전성기를 맞고 있다. 일본도 미래투자회의라는 기구를 만들고 정부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대응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발족돼 지난 1년여 활동했다. 그러나 낙제점이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기술(ICT) 강국 등의 옛 영광에 도취해 3차 산업혁명에만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오죽하면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장병규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 앞에서 답답한 현실을 절절하게 호소했겠는가.

장 위원장은 4차 산업 대비와 관련, 우리가 뛰고 있는 데 비해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은 날고 있는 형국이라고 강조했다. 1년여 전 출범 때와 달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것을 우려하며 속도를 내야 한다고 에둘러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마침 4차 산업혁명위원회 제2기가 새롭게 출범했다. 장병규 위원장이 연임됐고 민간위원 19명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당연직 정부위원 6명으로 구성됐다. 민간위원들은 자동차·의료·블록체인·스타트업 등 업계 관계자들과 교육·사회복지·바이오 분야의 학계, 법조계 등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제2기 위원회는 오는 12월 초 전체회의를 개최해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한다. 제2기 위원들은 내년 11월 말 임기 때까지 1기 위원회의 성과와 과제 등을 정밀하게 점검, 대한민국이 4차산업혁명 선진국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기회로 삼길 기대하는 바 크다.

현재 진행형인 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생물학적 경계를 초월해 기술이 융합되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 어느 시기의 산업혁명에 비해 빠르고 광범위하게 전개될 것이다. 인공지능(AI), 로봇기술 및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융합을 통해 기술혁신이 가속화될 것이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가 시장을 만드는 수요자 중심의 경제시대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기술과 시장에 대한 빠른 대응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유연성과 속도가 성패를 좌우하게 되고, 개인의 창의성과 열정이 핵심 경쟁력이 된다. 물리적인 교역을 위한 지리적인 이점도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다.

주목할 점은 지역이나 기업을 이끄는 지도자의 혜안과 리더십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기득권에 얽매인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며, 새로운 목표를 향해 진취적인 도전을 이끄는 리더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기회는 현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직시하길 바란다. 제2기 4차 산업혁명위원회의 건투를 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