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현지 경제산업부 기자
[일간투데이 임현지 기자]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서 태풍·홍수·폭설 등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 화재 붕괴·폭발·교통사고 등 이와 유사한 사고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와 전염병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이는 한 포털에서의 '재난'에 대한 사전적 정의다. '예상하지 못한 거대한 천재지변'을 우리는 재난이라고 여겨왔다. 그러나 지난 11월, 그 정의에도 변화가 생겼다. 바로 ICT(정보통신기술) 정전으로 인한 '디지털 재난'이다.

디지털 재난은 가장 최근 발생한 두 가지 사건을 예로 들 수 있다. 하나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오류로 인한 장애. 또 하나는 KT아현지사 화재로 인한 통신 장애다.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는 지난달 22일 오전 8시 19분부터 9시 43분까지 84분 동안 작동이 중단됐다. 이에 쿠팡, 배달의 민족 등 인터넷 서비스는 물론 가상화폐 거래소, 금융 서비스 등 수많은 기업의 서비스가 멈췄다. 뿐만 아니라 AI(인공지능) 음성인식 서비스인 빅스비와 씽큐의 작동도 두 차례나 정지됐다.

이틀 후인 지난달 24일에는 KT아현지사의 통신구에 화재가 나면서 서울 서북부 지역 일대의 KT가입자 통신이 모두 먹통이 됐다. 개인 유무선 전화는 물론 TV, 인터넷이 마비가 됐고 자영업자의 카드 결제도 정상적으로 사용이 불가했다. KT와 연결된 경찰서 112 신고 시스템과 병원 응급실 전산망 등 국가 주요 핵심시설도 단절되기에 이르렀다.

이 두 가지 사건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넘어서 기업들의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 의료, 공공기관 데이터 관련 업무 마비 등 대규모 손실과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그야말로 인류의 '신(新) 재난'을 보여주는 사례다.

해킹과 화재로 인한 사고, 시스템 오류 등은 앞으로 4차산업혁명 시대 피할 수 없는 재난으로 다가올 것이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수순은 이제 멈춰야 한다. 정부가 KT 사건 이후 곧바로 '통신 재난 관리체계 개선 TF'를 꾸려 본격 출범 시켰지만, 5G 개통을 코 앞둔 상태에서 이제야 통신 재난의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것은 너무 늦은 것이 아닐까. 재발 방지만이 답은 아니다.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탄탄한 솔루션 마련에도 만전을 기해야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