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생활에 대한 정부의 세심한 배려가 요청된다. 치솟는 물가 여파로 서민 삶이 갈수록 팍팍해지면서 '그늘'이 짙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서민 생계 보호 측면에서 물가 안정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여론에 귀 기울여야겠다.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물가는 올랐음에도, 정부는 경기가 좋지 않지만 물가만큼은 안정적이라고 강조해왔다. 예컨대 통계청은 지난해 4분기, 2%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 지수가 12월엔 1.3%까지 내려간 걸로 발표했고 한국은행은 당초 1.7%로 예상했던 올해 물가상승률을 낮춰 잡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달 24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4%로 전망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런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조사 결과 전혀 다른 수치가 나왔다. 소비자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진단한 정부 입장을 뒤집는 통계가 나온 것이다. 23일 OECD 등에 따르면 작년 4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26.7%)에 이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2017년 4분기 0.8%(26위), 작년 1분기 0.5%(29위)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작년 2분기 1.9%(20위)로 크게 뛰어오른 뒤 3분기 3.6%(3위)에 이어 4분기 5%대를 찍으며 2위까지 상승했다. 물론 작년 여름 111년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더위로 농·축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뛰었기 때문에 식품값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렇다 해도 고물가에 시름하는 소비자들이 정부 발표에 공감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밝혀진 것이다.

문제는 정부가 내놓는 지표와 소비자 체감 물가의 격차는 더 벌어질 전망이다. 당장 이달 들어 서울시가 택시 기본요금을 3천원에서 3천800원으로 인상한 게 추후 물가에 반영되고, 유가도 오름세를 타고 있어 물가지표는 '빨간불'이 켜질 수밖에 없다.

여하튼 정부는 서민 생계 보호 측면에서 물가 안정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 근래 급등한 물가로 인해 외식은 물론 시장 보기도 부담스럽다는 게 서민들의 한결 같은 의견이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공공연히 운위되는 현실 아닌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그러지 않아도 힘든 서민생계를 더욱 고달프게 하는 '밥상물가'를 우선 안정시키는 데 정책 우선순위를 두길 바란다. 소비자단체와 연계한 물가감시를 강화하고 식재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 확대 등을 면밀히 시행하길 바란다. 물가 안정이야말로 국민복지의 첫 걸음임을 재인식해야겠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