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부동산부 송호길 기자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제로페이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수수료는 0% 수준으로 낮춰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낮추겠다던 취지와는 무색하게 여전히 낯설기만 하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혜택이 적어 큰 매력으로 다가오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대책을 마련해야겠다.

서울시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제로페이를 시범 운영한 지 2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핀테크 기술이 접목된 간편결제 지불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았다.

제로페이는 매장에 비치된 QR코드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촬영하면 대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결제된 금액은 판매자 계좌로 대금이 바로 이체돼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제로에 가깝게 낮춘다.

그렇다면 현재의 성적표는 어떨까. 25일 기준 서울 시내 제로페이 가맹점 수는 8만여 곳으로 추산된다. 서울 소상공인 점포가 66만 곳인 점을 고려할 때 약 10%의 점포가 제로페이를 신청한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 경제정책과 서울페이추진반 관계자는 제로페이 점포 현황을 묻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외부에 공개할 수 없는 비공개 수치라는 것이다. 예상보다 도입이 지지부진한 탓에 비공개로 함구하고 있는 거 아니냐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소비자들의 수요자 저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민간기업의 결제 시스템으로 결제하던 방식을 굳이 제로페이로 바꿔야 할 이유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대대적인 홍보에도 불구하고 호응이 기대 이하인 이유다.

제로페이가 미래의 결제수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소비자에게 돌아갈 만한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가맹점주에게 '제로 카드수수료'라는 혜택이 있듯 말이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지불 시스템으로 인식이 굳혀지는 모습이다.

서울시와 중소기업중앙회 등 제로페이를 홍보하는 블로그에는 국민이 체감 못 하는 행정이라는 지적의 글이 주를 이룬다. 사업자와 소비자 모두 한목소리를 내는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말은 책임감이 없는 변명에 불과하다. 제로페이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3선 공약이자 역점사업이기도 하다. 그만큼 시간과 비용을 들인 사업이다. 애써 만든 사업이 공염불이 되지 않으려면 소비자에 대한 유인책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