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성을 생명으로 삼는 공공기관은 어느 조직보다 투명성과 효율적 생산성을 갖춰야 한다. 무엇보다 인사의 공정성이 긴요하다. 인사는 기업문화를 넘어 한 사회의 가치 척도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농협·수협·산림조합 일부 조합에서 채용비리 의혹이 제기돼 당국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은 지 오래다. 조합장을 비롯한 임직원의 채용청탁 및 부당지시, 인사부서가 이에 따라 채용 업무를 부적정하게 처리했다는 제보가 작지 않은 것이다.

마침 정부가 농·수·산림조합 채용비리에 대해 사실상 전수조사에 나선다. 만시지탄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산림청은 오는 29일부터 8월23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지역조합 채용 실태조사 특별팀을 구성하고 채용 전반에 대해 집중 조사한다고 밝혔다.

정부 합동 특별팀은 전국 1천353개 조합(농축협 1천120개, 수협 91개, 산림조합 142개) 중 최근 5년 새 채용이 많았거나 채용비리 신고가 접수됐던 조합 600개(약 45%)을 선정해 최근 5년(2015~2019년) 동안의 모든 신규채용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과정을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지역 조합들의 채용 전반에 대해 대규모로 실태 조사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과제가 적잖다. 은밀하게 이뤄지는 채용비리 특성상 적발을 위해선 뚜렷한 증거 제시 등 내부 신고가 필요하다. 물론 신고자는 접수 단계부터 철저히 비밀을 보호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신고 내용은 신속한 사실 확인을 거쳐 엄정한 조치를 요청하고 필요에 따라 신속히 수사를 의뢰해야 할 것이다.

이번 기회에 토호 세력과 연계된 농·수·산림조합 비리를 뿌리 뽑는 기회로 삼길 기대한다. 예컨대 지난달 13일 치러진 제2회 전국동시조합장 선거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당선된 지역 협동조합 조합장들은 대부분 공명선거를 실천했다.

그러나 선관위에 따르면 조합장선거 각 선관위에 접수된 위법 사례는 530여건이다. 특히 이들은 인사·사업권을 쥐고 있는 위치에서 '검은 세력'과 결탁해 전횡을 휘두르고 부패비리 커넥션에 빠질 소지가 작지 않다는 우려를 사고 있다. 금품 및 조직 동원 등 비정상적 방법으로 당선된 조합장이라면 농어민 조합원의 이익보다 자신의 본전을 뽑느라 이권에 눈이 멀 게 불 보듯 훤하다. 선거사범 및 부패비리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엄정하고 신속한 처벌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이다.

사실 은행 등 일반기업의 인사 채용 실태에서도 '악취'가 진동한 게 최근 일이다. 참으로 개탄스런 한국 사회 현실이다. 미래세대인 이 땅의 청년들에게 절망감을 안겨주는 인사비리를 뿌리 뽑아야 한다. 취업 준비생들은 밤잠을 설쳐 가며 입사 시험을 준비한다. 이들에게 채용 비리는 박탈감, 좌절감을 넘어 분노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이들을 지켜봐야 하는 부모 입장에서는 이보다 야비한 범죄가 있을까 싶을 정도의 허탈감을 느낀다.

여타 기관의 채용 비리도 면밀히 따져보아야 한다. 공공기관 채용 비리의 근원은 낙하산, 코드 인사 등에 원인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전문성도 없으면서 정권과 유착된 이유만으로 공공기관장에 임명되고, 이 과정에 힘을 보탠 주변인들이 채용 청탁에 나서는 먹이사슬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채용 인사비리 척결을 통해 사회정의를 올곧게 세우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