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악화되는 경영여건에 생존 자체를 고민하고 있다. 특히 중견·중소기업계가 더욱 심하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자동차·화학 등의 전망이 불확실한 데다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비용 증가, 정부의 기업활동 규제 완화 미미 등으로 기업 경영에 긍정적인 요소가 될 만한 것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런 실정이기에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 따르면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59곳이 벌어서 이자도 못 갚는 신세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번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이른바 '좀비(zombie)기업'이 이토록 많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특히 공기업의 경우 평균적으로 번 돈과 낼 이자가 같았던 것으로 나타나 잠재부실 우려가 가장 큰 업종으로 분류돼 충격적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에 따르면,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 곧 영업을 해서 번 돈으로 대출이자도 갚지 못하는 좀비기업이 전체 기업의 14.8%에 해당하는 2천600여 개에 이르렀고, 서비스 업종에선 5개 기업 가운데 1개 기업이 좀비기업으로 분류된 바 있다.

회생할 가능성이 없음에도 정부 또는 채권단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연명하는 기업을 영어에서 '되살아난 시체'를 뜻하는 '좀비'에 빗대어 부르는 말이다. 시장원리에 따라 퇴출돼야 할 좀비기업이 정부나 채권단의 지원금을 축냄으로써 정작 도움이 필요한, 잠재력이 있는 기업에게 지원돼야 할 자금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한계기업의 존재는 전체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려 정책자금의 효율을 가져오지 못하게 방해한다. 기업들은 수익을 창출할 목적으로 세워진다. 살기 위해서 기술이전이나 아이템의 개발, 시장개척 등의 자구책을 펼쳐내서 생존의 터전을 가꿔내야 한다. 그런데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아도 정책지원금이 있으니 문 닫지 않을 만큼만 움쩍거리니 경제에 악영향만 끼치게 된다. 정부는 혁신하는 기업을 돕고 기업이 제대로 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겠다. 정부의 근본적인 기업 살리기 정책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