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노동조합의 현실 인식을 촉구한다. 국내 자동차 생산대수는 글로벌 경쟁력 약화에 따른 판매 부진으로 멕시코의 자동차 생산대수(411만대)에 밀려 7위로 떨어했다. 파업까지 겹칠 경우 마지노선으로 여겨져 온 연 400만 대 생산체제가 무너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미 지난 1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95만 4천908대)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노조 리스크를 해결하지 못하면 국내 자동차업계가 글로벌 시장에서 도태돼 다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걱정스런 전망을 낳고 있다. 노조가 회사 생존을 고민해야 할 때인 것이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한국 자동차업계가 춘투(春鬪)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회사가 수익성 악화로 신음하는 와중에 노동조합마다 임금·단체협약과 온갖 정치적 이유 등을 내세우며 투쟁 깃발을 들고 나섰다.

현대차 노조는 추경호 자유한국당 국회의원 등이 발의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안 등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탄력근로제 확대 및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등도 막겠다고 선언했다.

추 의원 등 국회의원 17명이 발의한 개정안은 단체협약 유효기간 확대(2년→3년), 사업장 점거 금지, 쟁의행위 기간 대체근로 금지 규정 삭제, 파업 참가 강요행위 금지 등을 담고 있다. 현 정부 들어 무소불위 권력을 휘두르는 노조를 법적으로 견제하겠다는 취지다. 건설적 노사관계 정립과 산업평화를 위해선 필요불가결한 개선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임단협과 직접적 연관이 없는 ‘정치 이슈’를 들어 투쟁과 연계하는 건 설득력이 없다.

한국GM도 파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회사가 지난해 5월 경영 정상화 작업에 들어간 지 1년 만이다. 한국GM 노조는 최근 연구개발(R&D) 분리법인인 GM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 소속 조합원들이 파업에 찬성, 사측과의 교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곧바로 파업에 나설 계획이다. 르노삼성은 올 1분기 작년 같은 기간보다 40%가량 쪼그라든 3만8752대의 차량을 생산하는 데 그쳤다. 급기야 오는 29일부터 닷새가량 일시적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셧다운)하기로 했다.

노사 화합을 기반 삼아 실적을 올리고 모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낸 씽용차를 본받길 기대한다. 한국자동차산업은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총아' 자율주행차와 고효율 친환경 전기차 등 자동차 생산과 기능 등 패러다임 자체가 변하고 있는 것이다. 생산성 제고가 절박하다. 노사화합에 의한 산업평화를 이룩해 악조건을 헤쳐 가는 지혜와 힘을 모을 때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