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제일주의-. 사람이 가치를 창출하고, 좋은 인재가 현실의 난관을 타개하고 미래를 이끌어 간다. 세계적 기업도 뿌리를 지탱하는 힘은 큰 공장이 아니라, 그 속에 있는 인재인 것이다. 그래서 글로벌 기업들은 인재 육성과 영입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인다.

최첨단 과학기술을 자랑하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라고 해도 인간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빅데이터가 풍부해지고, 초연결 네트워크를 통해 인공지능(AI)이 생활 전반에 자리 잡게 되는 꿈의 사회 실현은 기술력에 달려 있는 것이다. 이른바 4차 산업혁명 구현을 위해선 산업 전반의 지능화 혁신을 가속화하고,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해외 사례를 보자. 특히 미국과 중국 등은 첨단기술의 꽃인 인공지능(AI)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에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도 무역 불균형의 개선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기술패권 전쟁이라는 해석이 많다. 예컨대 글로벌 기업들이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사옥을 옮길 정도로 AI 인재 수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들은 컴퓨터공학과 정원을 늘리고 교육을 대폭 강화하면서 시장 수요에 부응하고 있다. 미국 스탠퍼드대만 해도 컴퓨터공학부 정원을 739명으로 10년 전보다 5배 이상 늘렸다.

반면 국내 상황은 아니다. 기업들은 AI 인재를 찾을 수 없다며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현실이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국내 주요 대학이 각종 규제로 컴퓨터공학과 인재를 늘리지 못하면서 AI 인재 기근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는 15년째 정원이 55명으로 묶여 있다. 고려대와 연세대 등도 지난 5년간 AI 기술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터공학과 정원이 감소하거나 제자리였다.

서울대 컴퓨터공학 전공자 55명 중 대학원 진학자, 구글 페이스북 등 외국계 기업 취업 등을 제외하면 국내 기업에 들어가는 AI 인재는 10명 남짓이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 '유망 SW 분야의 미래 일자리 전망'에 따르면 내년 국내 산업 전체에서 AI 인재 수요가 2737명인데, 상위 1%라고 할 수 있는 AI 인재는 10여 명 수준에 불과하다.

수도권 정비규제 등으로 대학 정원이 제한돼 있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AI 인재 육성의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 정원 확대와 데이터‧지능화 등의 활용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재직자 교육 강화, 고용형태 다양화에 대응한 노동제도 개선 및 일자리 이동지원 강화 등이 추진돼야 하는 것이다. 우리도 세계적 흐름에 뒤처지지 않도록 첨단 기술개발을 위해 투자와 인재 육성 교육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