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상생정신이 절실하다. 업종 간 경쟁 심화 등으로 폐점률이 더 높아지리라는 우려다. 장기불황의 그늘이 짙다. 이처럼 가맹점들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지만 정작 주요 가맹본부의 매출은 증가하고 있다.

‘본사만 배를 불리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창업시장의 불문률이 ‘투자대비 수익성’이다. 즉 ‘가성비’의 효율성이 우수브랜드의 기준이기 때문이다. 또한 투자규모와 창업자의 노력, 그리고 창업환경이 창업성공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진정 창업하는 가맹점주와 상생을 위한 프랜차이즈라면 이런 점이 필요하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가맹점주들로부터 계약금만 받아 챙기고 ​이후 관리는 뒷전인 경우가 허다해 원성이 높다. 예컨대 커피숍을 차리기 위해 가맹비와 인테리어비 등 5000만 원 넘게 입금했지만, 개업은 물거품이 된 시례들이 적잖다. 계약금을 금융기관에 예치하지 않고 본부가 직접 받는 건 불법임에도 이를 지키지 않은 탓이다. 관련 경험이나 충분한 준비 없이 가맹본부가 도와준다는 말만 믿고 창업에 뛰어들었다간 목돈만 날리고 실패하기 쉽다.

불경기 속에 조기 퇴직한 중·장년층이나 불안정한 고용에 시달린 청년들이 마지막으로 매달리는 게 자영업이다. 그중에서도 프랜차이즈 창업은 본사의 영업 노하우 지원 등으로 준비 기간과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어 인기가 있다. 하지만 잇따른 분쟁에도 불구하고 프랜차이즈 본사의 ‘갑(甲)질’ 횡포가 줄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프랜차이즈 정보를 미리 꼼꼼히 따져볼 수 있도록, 모든 등록업체의 상세한 경영 정보를 공개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자영업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선 프랜차이즈 등록 자격을 더 엄격히 할 필요가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소 2곳 이상의 직영점을 1년 넘게 운영한 경험이 있어야만 프랜차이즈로 등록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법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다. 정치권과 당국이 프랜차이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요청된다. 서민들이 삶의 희망을 갖도록 돕는 게 지도층의 책무임을 되새길 때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