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 설치…전략 핵심품목 연구개발 주력

▲ 박영선 중소기업 벤처부 장관은 이날‘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기업-중소기업 간담회’에서 “주력산업의 공급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전략 핵심품목의 연구개발에 매년 1조원 이상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최형호 기자] 정부가 매년 1조원을 투자해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국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략 핵심품목의 연구개발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18일 정재게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중 홍남기 경제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를 설치하고 산하에 민관협의체인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마련한다.

이 상생협의회는 6대 업종별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되며, 품목 선정과 공동 R&D, 실증 테스트, 대기업 수요와 중소기업 기술을 1대1 매칭해주는 판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박영선 중소기업 벤처부 장관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분업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기업-중소기업 간담회’에서 “주력산업의 공급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전략 핵심품목의 연구개발에 매년 1조원 이상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와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중소기업 10곳이 참여했다.

박 장관은 이날 “일본의 수출규제 한 나라의 경제가 쉽게 무너질 수 있는 점을 알게 됐다”며 “소재·부품·장비를 특정 국가에 의존하면 이번 사태가 언제든 재현될 수 있는 만큼 전략 핵심품목의 국산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간담회는 대기업이 구매를 희망하고 국내 중소기업이 제조 가능한 소재 30여 가지의 국산화를 위한 대화의 장인 셈이다.

결과적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을 통해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의 위기를 극복하자는 방안도 되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

이번 간담회는 삼성전자를 포함한 대기업이 ‘중매’를 자처해 중기부 측에 먼저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해당 소재들은 비공개 처리됐다. 30여개 소재의 정확한 리스트를 알면 일본의 역이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장관은 이날 소재·부품·장비를 국산화하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분업적 협력을 들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의회를 설치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연구개발과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중기부는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통해 품목과 기술별로 중소기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대기업의 수요에 맞춰 일대일 매칭을 통한 판로를 지원하는 방안이다.

박 장관은 “대기업에 연락해 국내 생산을 원하는 품목의 명단을 받았다”며 “일본보다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중소기업도 있어 이번 상생방안에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협의회를 통해 찾아낸 품목을 상생품목으로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이렇게 지정된 품목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공동 연구개발 대상에 오르고 정부는 검토를 통해 지원 방안을 보색할 전망이다.

대기업들도 국산 부품을 쓰는 것에 대해 굳이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그간 썼던 부품 대신 국산화 부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성능 테스트와 실제 제품 내 사용 검증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는 것을 거론하며 정부가 국산화를 사용하는데 있어 완벽해질 때까지 시간을 달라고 요청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대기업 관계자는 “정부의 도움 없이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국산화를 추진할 수 없다”며 “국가의 지원 및 국가 주도의 핵심 소재 국산화 개발 로드맵 또한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