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새움병원 척추클리닉 김동윤 원장
[일간투데이 이성자 기자]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어떠한 질환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을 찾기도 전에 온라인의 정보만을 통해 섣부른 진단이나 자가치료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허리나 목에 증상이 발생한 경우 모두 디스크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목(경추) 부위에 발생하는 협착증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척추 안의 신경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협착증은 발생 부위에 따라 목 부분에 나타나는 경추관협착증과 허리 부분에 나타나는 요추관협착증으로 나뉜다.

목에 발생하는 경추협착증 발병 초기에는 목과 어깨 주변부 통증이 발생하고 팔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생기는데 이는 목디스크 초기 증상과도 매우 비슷해 일반인의 경우 쉽게 구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목디스크는 이상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경우가 있지만 경추관협착증은 서서히 진행되며 점차 악화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경추관협착증의 경우 목에 있는 신경이 팔 뿐만 아니라 몸 전체로 연결되어 있어 조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감각 신경이 압박을 받아 팔이나 손의 감각이 둔해지고 보행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근력저하, 배뇨장애, 심하면 하반신 마비까지 발생하기 때문에 초기에 증상이 있다면 영상학적 검사와 척추 전문의 진료를 받는 것이 권유된다.

경추관협착증 초기일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찜질, 보조기착용 등의 보존적 치료가 우선시된다. 호전이 없거나 이미 신경압박으로 인한 증상이 심할 경우 신경성형술, 고주파수핵성형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가느다란 관(카테터)을 삽입하여 병변부위에 약물을 투여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유착을 제거해 신경 압박을 완화시켜주는 방법으로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경우 고려된다.

하지만 MRI 검사에서 신경손상이 관찰되거나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렵고 팔, 다리에 마비증상이 나타난 경우 미세 현미경 수술적 치료(경추 인공디스크치환술, 절개감압술 등)를 고려해야 한다.

경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 및 무리한 운동이 그 원인이다. 목이나 어깨통증이 있을 경우 섣부른 자가진단으로 치료시기를 늦추지 말고 반드시 정확한 진단 후 증상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말=새움병원 척추클리닉 김동윤 원장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