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가 오는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WiFi)를 깔고, 공공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이용한 공유 주차·스마트 가로등·실종 방지 서비스 등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3년(2020∼2022년)간 총 1027억 원을 투입해 집 이외의 장소에서도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해서 시민들의 통신 기본권을 지원하고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2022년까지 서울 전 지역에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를 구축하는데 자가 통신망을 이용, 이동통신사의 회선을 빌리지 않고 서울시가 자체망을 깔아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시 본청과 25개 자치구, 동주민센터 등에 구축된 기존 자가 통신망에다 추가로 설치해서 통합 통신망을 구축한다.

서울시는 자가 통신망을 기반으로 복지시설, 마을버스, 공원 등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해 통신 범위를 현재 생활권 31%에서 100%로 확대하고 최대 속도 9.6Gbps를 지원하는 와이파이의 최신 기술기준인 와이파이 6(WiFi 6)을 적용할 계획이다.

무료 공공 와이파이 확대는 시민들의 통신비 절감 효과로 이어진다. 서울시 설명에 따르면 월 3만3000원의 KT, LGU+, SKT 등 이통사 기본요금제 이용자의 경우 평균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한 달 5만원에 연간으로는 60만원 규모, 서울시 이용자(612만명 기준)를 감안하면 연간 3조8776억원의 혜택을 받는 셈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자가 통신망에 사물인터넷(IoT) 기지국(LoRa)을 설치해 IoT 센서를 활용한 공유 주차·스마트 가로등·치매 노인과 아동 실종 방지 서비스도 병행한다.

지자체가 시 전역을 상대로 공공지역에 무료 무선통신망 서비스를 확대한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가 드물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시민이 낸 각종 세금이 시민을 위한 편의성 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일상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활 일부가 된 스마트폰의 통신비 절감 효과까지 가져온다는 점에서 특히 그렇다.

이는 비단 서울시뿐만이 아니라 서울시의 사례를 경기도를 포함한 시군구까지 확대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 시대마다 예산이 투입돼야 할 우선순위가 변화하는 만큼 시민이, 도민이, 그리고 군민이 필요로 하는 곳에 예산이 선택과 집중효과를 발휘하는데 이번 서울시 공공지역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계획은 여타 지자체에까지 파급효과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