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안정성·ICT 보급 1위…기업활력·노동시장 부문은 '하위권'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3년 연속 상승해 세계 13위 수준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세계경제포럼(WEF)의 2019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경쟁력 종합 순위는 141개국 가운데 13위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두 단계, 2017년 대비 네 단계 오른 순위다.

우리나라는 거시경제 안정성과 정보통신기술(ICT) 보급이 작년에 이어 여전히 전 세계 1위 자리를 지킨 반면 기업 활력과 노동시장 부문에서는 다소 후퇴했다는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경쟁력 종합 1위는 싱가포르가 차지했고 작년 1위에 오른 미국은 2위로 내려 앉았다. 이어 홍콩, 네덜란드, 스위스, 일본, 독일, 스웨덴, 영국, 덴마크가 싱가포르가 미국의 뒤를 이었다.

분야별로 나눠보면 12개 평가 부문 가운데 두 부문에서 순위가 하락하고 다섯 부문에서 상승했다.

노동시장 순위가 올해 전년보다 3계단 하락한 51위로 나타났다. 세부 항목 중에서도 노사관계에서의 협력 순위는 130위로 조사대상국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었다.

기업 활력 순위는 지난해 22위에서 25위로 세 단계 후퇴했다. 세부 항목으로 창업 비용과 창업 준비 기간, 파산회복률, 파산법률체계 등은 물론 `창조적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기업`에서 순위가 하락했다.

반면 노동자 권리는 작년 108위에서 93위, 급여 및 생산성은 작년 16위에서 14위로 상승해 문재인 정부 들어 노동자의 권익과 급여는 개선된 것으로 풀이됐다.

ICT 보급과 거시경제 안정성은 지난해에 이어 모두 1위를 기록했다. 거시경제 안정성과 정보통신기술(ICT)보급의 경쟁력은 1위로 세계 최고였고, 인프라는 6위를 차지했다.

이어 혁신역량은 6위, 시장규모는 14위에 올라 우리나라의 경제 인프라와 대내·외적 여건이 모두 세계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 분야는 8위, 금융시스템은 18위로 모두 상위권에 올랐다.

정부는 민관 합동 국가경쟁력정책협의회을 열어 WEF 결과를 토대로 한 국가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노동시장 개혁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혁신플랫폼 투자와 신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구상할 것으로 보인다.

WEF는 한국에 대해 "ICT 부문을 이끄는 글로벌 리더"라면서도 "도전하는 기업가정신 고양과 국내 경쟁 촉진, 노동시장 이중구조·경직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36개 회원국 가운데서는 10번째로 순위가 높았다.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17개국 가운데서는 5위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