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작년 比 34만8000명 증가
실업률, 3.1%…5년만에 '최저'기록

[일간투데이 권희진 기자] 9월 기준으로 고용률은 23년 만에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5년 만에 제일 낮았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40만4000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34만8000명 증가했다.

9월 취업자 증가 폭이 두 달 연속 30만명대 이상을 기록했다.

9월 취업자 수는 서비스업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체 취업자 수를 견인한 반면 제조업의 감소폭은 컸으며 30·40대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9월 취업자 증가 폭은 2017년 3월(46만3000명)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컸던 8월(45만2000명)에는 못 미치지만 두 달 연속 30만명을 넘겼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만3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7만900명) 등에서 큰 폭으로 확대됐다.

통계청은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고용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제조업(-11만1000명), 도매 및 소매업(-6만4000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6만2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이는 경기침체에 따른 제조업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관련 업종의 고용 인원도 꾸준히 줄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조업은 지난달 11만명 이상 줄며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수주가 늘면서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운송장비는 취업자 수가 늘었다.

금융업은 올해 들어 9개월째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졌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1년 전보다 54만1000명 증가한 반면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11만3000명, 1만명 각각 감소했다.

통계청에 다르면 9월에는 명절 연휴와 가을 태풍이 잇따라 이어지면서 일용근로자 감소 폭이 비교적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11만9000명 증가했고,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6만6000명 줄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2만3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는 증가했지만 고용인은 오히려 감소한 이유에 대해 통계청은 신규 창업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1인 창업을 선택하는 창업자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에서 38만명, 50대에서 11만9000명, 20대에서 6만4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에서는 17만9000명, 30대에서 1만3000명 각각 감소했다.

고령층과 청년층의 취업은 증가했으나 경제의 주요 중심축인 30~40대 취업자 수가 감소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올랐다. 이는 9월 기준으로 1996년(61.8%) 이후 23년 만에 기록한 최고치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과 4월을 제외하고 1년 전보다 상승했다. 1월과 4월에는 각각 -0.3%포인트, -0.1%포인트를 기록한 바 있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3.7%로 0.8%포인트 상승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88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명 감소했다. 9월로만 비교하면 2015년(86만7000명) 이후 가장 적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9월 기준으로 2014년(3.1%) 이후 최저다.

청년 실업률은 7.3%로 1.5%포인트 떨어졌다. 2012년 9월 6.7%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는 10.8%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내렸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2만7000명 증가한 1628만5000명이었다.

활동 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3만9000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1만2000명), 재학·수강 등(-5만8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71만7000명으로 1만5000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53만2000명으로 2만4000명 줄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8월에 이어 9월에도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됐다"라며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경제·고용여건 개선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경제 체질개선·구조개혁을 위한 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해 중장기적 리스크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